하메네이 "미·영 못 믿어…백신 수입 말라"
한국·이란, 한국 내 이란 자금으로 백신 구매 대금 활용 논의
혁명수비대 나포한 한국케미호 억류 해제 협상에도 영향 전망
(이스탄불=연합뉴스) 김승욱 특파원 = 이란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세예드 알리 하메네이가 미국과 영국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수입을 금지했다.
하메네이의 미·영 백신 수입 금지령이 한국 내 동결된 이란 자금과 코로나19 백신 대금을 고리로 한 '한국케미' 억류 해제 협상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이란 국영 IRNA 통신 등 이란 현지 언론에 따르면 하메네이는 8일(현지시간) TV 연설에서 "미국과 영국을 신뢰하지 않는다"며 "백신이 미국과 영국에서 공급돼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최고지도자 하메네이는 "이미 정부에 미국과 영국 백신을 수입해서는 안 된다고 이야기했고, 지금은 공개적으로 언급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미국과 영국을 거론하면서 "그들은 다른 나라에 백신을 시험하려고 한다"며 "만일 미국이 백신을 생산할 수 있다면, 매일 4천 명의 사망자를 내지 않을 것이고 영국도 마찬가지"라고 비판했다.
이어 "프랑스 역시 신뢰할 수 없다"며 "만약 신뢰할 수 있는 다른 나라가 백신을 생산한다면 정부는 그 나라에서 백신을 수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란 내 자체 백신 생산 노력을 환영하면서 "생산된 백신은 자부심과 명예의 원천"이라고 언급했다.
최고지도자 하메네이의 미국과 영국산 백신 수입 금지령은 이란 혁명수비대에 나포된 '한국케미' 억류 해제 협상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란 측이 선박 나포 사건 논의에 앞서 한국 내 동결 중인 이란 자금으로 코로나19 백신 대금을 결제하는 방안을 먼저 논의하자고 주장하기 때문이다.
앞서 이란 혁명수비대는 지난 4일 걸프 해역에서 해양오염을 이유로 한국 화학 운반선 한국케미호를 나포했다.
한국케미에는 한국인 5명 등 20명이 승선했으며, 반다르아바스 항에 억류 중인 한국케미 선내에 머물고 있다.
이란이 한국케미를 나포한 배경으로 꼽히는 한국 내 이란 자금은 70억 달러(약 7조6천억원)로 추정된다.
이란은 2010년 이란 중앙은행 명의로 IBK기업은행과 우리은행에 원화 계좌를 개설하고 이 계좌를 통해 원유 수출 대금을 받아왔다.
그러나 미국 정부가 2018년 이란 중앙은행을 제재 명단에 올려 이 계좌를 통한 거래가 중단됐으며, 이란 정부는 이 동결 자금을 해제하라고 요구해왔다.
이에 한국과 이란 정부는 한국 내 동결 중인 이란 자금 70억 달러 중 일부를 의료장비와 코로나19 백신 구매에 사용하는 방안을 모색해왔다.
구체적으로 양국 정부는 동결 자금 중 일부를 코로나19 백신 공동 구매 프로젝트인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에 송금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그러나 원화를 스위스 은행으로 송금하려면 미국 은행을 거쳐야 하는 탓에 미국 은행이 자금을 동결할 것을 우려한 이란이 결정을 내리지 못했다.
이런 가운데 하메네이의 미·영 백신 수입금지령이 새로운 변수로 등장한 셈이다.
현재 미국의 화이자·모더나 백신과 영국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제외하면 당장 접종 가능한 백신은 러시아와 중국 백신 정도만 남는다.
하메네이가 '신뢰할 수 있는 나라'를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러시아와 중국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해석될 수 있다.
미국·영국 백신이 제외되고 중국·러시아 백신으로 선택지가 좁혀진 상황이 한국 내 이란 자금 활용 방안을 도출해 내는 데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kind3@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