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재정부담 이유로 중단 시사…의회에선 연장 의견 우세
(상파울루=연합뉴스) 김재순 특파원 = 브라질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대응을 위한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을 중단하면 수백만 명이 극빈층으로 추락할 것으로 관측됐다.
11일(현지시간) 브라질의 민간 연구기관인 제툴리우 바르가스 재단(FGV) 브라질 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정부가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을 중단하면 당장 340만 명 정도가 극빈층으로 떨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여기서 극빈층은 세계은행(WB)의 기준에 따라 하루 평균 소득이 1.9달러(약 2천 원) 이하인 계층을 말하며, 이 분석이 맞으면 올해 극빈층은 1천730만 명으로 늘어나면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하게 된다.
앞서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브라질 정부가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을 종료하면 경제회복 노력을 저해하는 것은 물론 극빈층이 전체 인구의 10%를 넘는 2천400만 명 수준까지 늘어날 것이라고 경고했다.
조사를 이끈 비니시우스 보텔류 교수는 "코로나19 때문에 일자리를 잃고 소득이 줄어든 사람들을 위한 다른 대책이 없이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이 중단되면 이전에 볼 수 없었던 최악의 상황을 맞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https://img.wowtv.co.kr/YH/2021-01-12/AKR20210112004900094_01_i.jpg)
브라질 정부는 코로나19로 타격을 받은 비정규직 근로자와 실업자, 빈곤층 등에게 지난해 4월부터 8월까지 매월 600헤알(약 12만 원)을 지급했다.
이후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고 지난해 11월 지방선거를 의식해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을 지난해 말까지로 연장하는 대신 금액은 매월 300헤알로 줄였다.
자이르 보우소나루 대통령은 재정 부담을 이유로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을 연장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으나 의회를 중심으로 더 연장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지난해 말에는 긴급재난지원 중단에 항의하는 시위가 잇따랐다.
지방 정부들이 코로나19 재확산을 막기 위해 상가 영업을 금지하고 봉쇄를 강화하는 상황에서 긴급재난지원까지 끊기면 당장 생계가 막막해지는 주민들이 거리로 나선 것이다.
올해 들어서도 코로나19 피해가 빠르게 늘고 있어 주민 시위는 더 확산할 것으로 보인다.
fidelis21c@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