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은행, 3일부터 직장인·공무원 마통 상한 1억→5천만원
당국 가계대출 관리 압박에 우리·카뱅 등도 줄줄이 축소·중단
(서울=연합뉴스) 은행팀 = 금융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압박 속에 연초부터 은행권이 강하게 신용대출을 조이면서, 아무리 소득이 많고 신용도가 높은 직장인·공무원이라도 이제 마이너스통장을 5천만원 이상 뚫기가 어려워지고 있다.
◇ 신한·우리·카뱅 마통 한도 5천만원↓…수협은행 개설 중단
1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오는 3일부터 '쏠(SOL)편한' 직장인 신용대출과 공무원 신용대출 상품의 마이너스통장(한도거래대출 또는 통장자동대출) 한도를 5천만원으로 낮추기로 했다.
마이너스통장 개설 상한액이 기존 1억원의 절반 수준으로 깎이는 셈이다.
예를 들어 은행 심사 결과 전체 신용대출 한도가 1억원으로 산정된 차주(돈을 빌리는 사람)의 경우 지금까지는 1억원 한도 전체를 마이너스통장 형태로 받을 수 있었지만, 이제 마이너스통장은 최대 5천만원까지 뚫을 수 있고 나머지는 일반 신용대출을 이용해야 한다.
아울러 신한은행은 신용대출에 대한 DSR 심사 기준도 강화한다. 3일 이전에는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이 50%를 넘는 경우에만 본부 심사를 거쳤는데, 3일부터 40%만 초과해도 본부 심사 대상이 된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최근 가계대출 증가세가 가파른데, 실사용자의 생활안정자금 대출 등 자금 수요에 집중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마이너스 통장 한도를 축소하고 DSR 심사를 강화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달 29일 우리은행도 마이너스통장 대출 상품의 한도를 기존 8천만원∼1억원에서 5천만원으로 대폭 줄였고, 인터넷전문은행 카카오뱅크도 같은 달 22일 마이너스통장 대출을 비롯해 고신용 직장인 대상 신용대출 상품의 한도를 1억5천만원에서 1억원으로 5천만원 깎았다.
같은 날 수협은행은 아예 직장인 대상 'Sh더드림신용대출' 상품 중 마이너스통장 신규 대출을 중단했고, 케이뱅크는 28일 직장인 대상 마이너스통장 대출 금리를 0.1%포인트 올려 최저 금리를 연 3.0%로 상향 조정했다.
◇ 가계대출 증가율 5%로 낮추려면…"결국 신용대출 조여야"
이처럼 은행권이 연초부터 마이너스통장을 중심으로 신용대출을 강하게 묶는 것은 당국의 가계대출 관리 압박과 관련이 있다.
지난해 말 5대 시중은행 등은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 관리 목표를 5∼8% 수준으로 제출했는데, 최근 당국은 가계대출 동향 관련 회의에서 시중은행 가계 여신 담당 임원(부은행장급)들에게 "(목표 증가율이) 지나치다고 생각되면 조정치를 제시해주겠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은행권은 결국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 목표가 5% 안팎 수준으로 일괄적으로 낮춰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지난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5대 시중은행의 전체 가계대출은 2019년보다 9.73%(59조3천977억원)나 늘어난 사실을 고려하면, 코로나19로 자금 수요가 급증한 가운데 가계대출 연간 증가율을 5%에 맞추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결국 은행권은 작년 말에 이어 가계대출 중 신용대출을 집중적으로 줄일 수밖에 없는 처지다.
금융권 관계자는 "주택 거래가 작년 수준과 같다고 가정하면,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집값이 오른 비율만큼은 자연적으로 늘어날 수밖에 없다"며 "따라서 제어가 어려운 주택담보대출을 놔둔 채 가계대출 증가율을 5% 수준에서 맞추려면, 은행 입장에서는 신용대출을 조여야 한다. 소비자들로서는 올해 신용대출을 받기 매우 어려운 한 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작년 10월 이후 연말까지 은행권이 주로 고소득·전문직 신용대출 한도를 축소한 것과 달리, 올해 들어서는 이례적으로 일반 직장인 등 서민 신용대출까지 옥죄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특히 마이너스 통장의 경우, 신한은행의 설명처럼 실수요 자금보다는 주식·부동산 투자용 자금 조달 수단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더 큰 만큼 올해 내내 은행 가계대출 조이기의 주요 타깃이 될 전망이다. 증가율 조절 수단으로 효과적인데다, 대출이 자산시장으로 흘러드는 것을 경계하는 정부의 우려에도 부합하기 때문이다.
shk99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