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항체치료제에 지원금 230억1천만원, SK바이오사이언스 백신후보물질(GBP510)에 국제기금 110억원
건약 등 "연구비 이외에도 임상승인 간소화 등 정부지원 투입돼"
"공적재원 투입된 연구성과는 시민과 사회가 누려야"
(서울=연합뉴스) 계승현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의 연구비 지원에 공공자금이 들어갔지만, 그 이득은 제약사가 독점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3일 건강사회를위한약사회, 시민건강연구소, 한국민중건강운동은 '민중건강운동 브리프(보고서)' 1월호에서 이런 의견을 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국내에서 임상시험 중인 6가지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은 모두 정부 재정 등을 포함한 공공 연구개발(R&D) 기금으로 개발되고 있다.
코로나19 백신의 공공 R&D 비용은 총 6개 후보물질에 309억4천500만원이 투입됐다.
후보물질별로는 제넥신 'GX-19N'이 93억9천만원, 국제백신연구소 'INO-4800'이 84억원, SK바이오사이언스 'NBP2001'이 13억1천만원을 지원받았다. SK바이오사이언스 'GBP510'은 빌게이츠재단의 국제민간기구인 감염병혁신연합(CEPI)을 통한 지원금 110억원을 받아 개발 중이다.
![](https://img.wowtv.co.kr/YH/2021-02-03/AKR20210202148600017_01_i.jpg)
치료제의 경우 임상이 진행 중인 15개 후보물질 중 4개에 346억4천만원이 지원됐다.
가장 많은 공공 R&D 지원을 받은 물질은 셀트리온의 항체치료제 '렉키로나주'(코드명 CT-P59)로, 230억1천만원이 투입됐다.
GC녹십자의 혈장치료제 'GC5131' 61억4천만원, 대웅제약 'DWRX2003' 49억4천만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백신과 달리 치료제 개발은 국제기구의 지원 없이 정부 사업을 통해서만 이뤄졌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1/02/02/AKR20210202148600017_02_i.jpg)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는 연구비 지원 이외에도 임상 승인 및 허가과정을 대폭 단축해 제약사의 투자비를 절감해주고 있다.
임상시험 기간은 통상 3∼10년이 소요되는데, 현재 진행 중인 코로나19 의약품 개발에서는 이 기간이 대부분 1년 내외로 줄어들었다.
건약 등은 보고서 말미에서 "정부는 막대한 국민의 세금으로 공공 R&D를 지원하고 있지만, 그 이득은 민간 제약사가 독점하고 있다"며 "공적 재원이 투입된 연구 성과는 시민과 사회가 누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http://img.yna.co.kr/photo/cms/2020/11/27/49/PCM20201127000149990_P2.jpg)
ke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