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 피폭 시 활성산소 제거하는 방사선 보호제 개발"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3일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2월 수상자로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박경표 교수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https://img.wowtv.co.kr/YH/2021-02-03/AKR20210202178200017_02_i.jpg)
박 교수는 고선량 방사선으로부터 전신을 보호하는 나노입자 보호제를 개발, 국민 건강 증진과 기초의과학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았다.
방사선은 컴퓨터단층촬영(CT), 반도체 검사, 공항 보안 검색, 식료품 원료선별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지만, 오남용 및 부주의 등에 의한 피폭 사고 위험이 있다. 기준치 이상의 방사선에 노출되면 활성산소가 생성돼 세포 내 소기관 기능이 훼손되고 심하면 죽음에 이를 수 있다.
활성산소를 빠르게 제거해 체내 손상을 줄이는 방사선 보호제 중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제품은 아미포스틴이 유일한데, 현재 방사선 치료 시 타액선 보호용으로만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1/02/02/AKR20210202178200017_03_i.jpg)
박 교수는 활성산소 제거 효과가 뛰어난 세륨-망간 산화물을 이용해 전신에 사용할 수 있고 체내 독성·안정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나노입자 형태의 방사선 보호제를 개발하고, 사람 줄기세포로 만든 인공장기를 이용한 유전자분석으로 방사선 보호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이 나노입자를 실험용 쥐에 아미포스틴 권장 투약량의 360분의 1을 투여한 결과 방사선으로 인한 DNA 손상, 세포자살, 스트레스 등 부작용이 획기적으로 개선되고 세포 재생 관련 유전자 발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지난해 8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스'(Advanced Materials)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은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로 과학기술 발전에 공헌한 연구개발자를 매월 선정하는 상으로 과기정통부 장관상과 상금 1천만원을 수여한다.
scitec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