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 프랑스 크리스티에 "우리 고대 유물 경매 중단하라"

입력 2021-02-03 12:06  

멕시코, 프랑스 크리스티에 "우리 고대 유물 경매 중단하라"
멕시코 정부 "경매 품목 30여점은 우리 문화유산…위조품도 있어"


(멕시코시티=연합뉴스) 고미혜 특파원 = 경매업체 크리스티가 프랑스에서 멕시코 지역 고대 유물의 경매를 예고하자, 멕시코 정부가 반발하며 경매 중단을 촉구했다.
멕시코의 문화재청격인 국립인류학연사연구소(INAH)는 2일(현지시간) 화상 기자회견을 열고 크리스티 파리가 오는 9일 경매에 부치는 물품 중 일부가 "멕시코의 문화유산"이라고 말했다.
디에고 프리에토 INAH 소장은 "국가의 문화유산은 거래돼서는 안 된다"며 경매 중단과 문화재 반환을 요구했다.
크리스티 파리는 '케찰코아틀 : 깃털 달린 뱀'이라는 제목으로, 스페인 정복기 이전 멕시코에 존재한 아스테카, 마야, 톨텍, 미스텍 문화 등의 유물 39점을 경매한다. '케찰코아틀'은 아스테카 문화의 뱀 신이다.
INAH는 경매 품목 중 멕시코 지역 문화나 문명과 관련 있는 것이 33점이며, 이중 3개 유물은 위조품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멕시코가 가짜라고 주장하는 물품 중엔 서기 450∼650년 무렵의 테오티우아칸 석제 가면도 포함돼 있다. 크리스티 웹사이트엔 경매 추정가가 최고 55만 유로(약 7억4천만원)로 책정됐다.
INAH는 이 가면에 대해 "고대에 제작된 것이 아니라 멕시코 전문가가 멀지 않은 과거에 만든 것"이라고 말했다.
INAH는 멕시코 검찰에 이번 경매에 대한 수사를 요청하고, 프랑스 주재 대사를 통해 프랑스 정부에도 경매에 항의하는 멕시코 정부의 입장을 전달한 상태라고 덧붙였다.
멕시코는 1972년 이후 문화재의 반출과 매각 등을 법으로 금하고 있으며, 최근 들어 해외에 있는 멕시코 문화재를 되찾기 위해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멕시코 정부는 지난 2019년에도 프랑스 경매업체 밀롱의 멕시코 고대 유물 경매를 앞두고 법적·외교적 채널을 동원해 경매 중단과 유물 반환을 촉구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다.
당시 아스테카 문명 여신 조각상 등 경매 물품 다수는 감정가보다 훨씬 높은 가격에 낙찰됐다.
mihy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