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영 서울대 교수, 경제학회 주관 경제학 공동학술대회 발표
(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금융의 국제화가 심화해 이에 대응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해외 충격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이 커진 만큼 국내 금융 상황을 안정시킬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목소리다.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4일 비대면으로 열린 한국경제학회 주관 2021 경제학 공동학술대회 첫날 전체회의에서 '코로나 시대와 금융 글로벌화(국제화)'를 주제로 이렇게 말했다.
김 교수는 "세계화의 한 축인 금융 국제화가 심화하고 있다"며 "한국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대외 금융 자산과 부채의 양이 아직 세계 평균의 반도 안 되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의 3분의 1 수준으로, 향후 더욱 증가할 가능성이 매우 큰 만큼 다방면의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코로나19 사태 후 진행될 미국의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에도 유의해야 하고, 한국 경제에 나타난 실물과 금융의 괴리, 가계 부채와 국가 부채의 급증 등이 향후 자본 유입의 반전을 촉발할 수 있다는 면에도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또 "대외 자산과 부채가 급증하면서 이에 따른 운용 수익 또는 손실도 늘고 있는데, 최근 20년간 대외 금융 자산·부채의 운용 손실은 연평균 GDP 대비 1.8%를 넘는다"며 "선진국과 견줬을 때 위험 대비 수익률은 훨씬 열악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향후 인구 고령화와 저성장 고착화 등에 따라 빠른 소득의 증가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해외 투자 수익을 늘리는 것은 국가와 개인 투자자 입장에서 모두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김 교수는 "최근 한미 장기 금리가 동조화하는 등 해외 금융 여건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이 커졌다"며 "이는 한국의 금융·통화 정책이 국내 여건에 미치는 영향이 줄었다는 뜻으로, 부정적 해외 충격이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다.
soh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