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보경 기자 = 한국이 1·2월에 이어 3월에도 선박 수주 1위를 차지했다.
6일 영국의 조선·해운 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한국은 지난달 전 세계 선박 발주량 520만CGT(133척) 중 286만CGT(63척)를 수주해 55%의 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중국 219만CGT(63척·42%), 독일 7만CGT(1척·1%) 순이었다.
![](https://img.wowtv.co.kr/YH/2021-04-06/PCM20191210000099990_P2.jpg)
지난달 수주량은 전월(295만CGT) 대비 76%, 전년 동기(124만CGT) 대비 320% 증가한 것으로, 월별 기준으로는 2015년 6월 이후 최대 규모다.
올해 1분기 누계 발주는 1천24만CGT로, 이 중 한국이 전년 동기(55만CGT)의 10배에 육박하는 532만CGT를 수주했다. 점유율은 52%에 달한다. 중국과 일본은 각각 426만CGT(42%), 35만CGT(4%)를 기록했다.
한국은 지난달 발주된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14척 전량과 1만2천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급 이상 대형 컨테이너선 52척 중 34척을 수주하며 주력 선종에서 우위를 보였다.
지난달 전 세계 수주잔량은 전달 대비 329만CGT(5%) 증가한 7천429만CGT로, 1월 이후 3개월 연속 증가했다.
국가별 수주잔량은 중국 2천717만CGT(37%), 한국 2천438만CGT(33%), 일본 777만CGT(11%) 순이었다.
단일 조선소별로 살펴보면 한국 조선소가 1~5위를 차지했는데 삼성중공업[010140](705만CGT), 현대중공업(534만CGT), 대우조선해양[042660](474만CGT), 현대삼호중공업(430만CGT), 현대미포조선[010620](224만CGT) 순이었다.
지난달 클락슨 신조선가지수도 전달보다 2포인트 상승한 130포인트를 기록하며 전년 1월 수준을 회복했다.
VLCC가 8천950만 달러에서 9천50만 달러로, 컨테이너선이 1억500만 달러에서 1억 1천300만 달러로 오르는 등 모든 선종에 걸쳐 선가가 소폭 상승했다.
vivid@yna.co.kr
![](http://img.yna.co.kr/etc/graphic/YH/2021/04/06/GYH2021040600150004400_P2.jpg)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