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항로 1분기 수출 10.4% 증가…컨테이너선 2척 추가 투입
![](https://img.wowtv.co.kr/YH/2021-04-25/AKR20210424025600530_03_i.jpg)
(서울=연합뉴스) 오예진 기자 = 해양수산부는 지난달 발생한 수에즈 운하 통항 중단 사태가 수출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유럽항로에 임시 컨테이너선을 추가로 투입한다고 25일 밝혔다.
이번에 투입하는 선박은 HMM의 4천600TEU(1TEU는 20피트 길이 컨테이너 1개)급 컨테이너선 1척으로 국내 수출기업 등의 화물을 싣고 오는 26일 부산에서 출발해 다음 달 27일과 30일에 네덜란드 로테르담항, 독일 함부르크항에 각각 도착할 예정이다.
지난달 23일 이집트 수에즈 운하에는 길이 400m인 파나마 선적 컨테이너선(22만t급)이 좌초돼 운하 통항이 모두 중단됐다. 수에즈 운하는 아시아와 유럽이 아프리카 대륙을 우회하지 않고 교역할 수 있는 핵심 통로여서 국내 수출기업들의 일정에도 차질이 빚어졌다.
통항은 사고 7일만인 지난달 29일 재개됐지만, 사고 기간 대기하고 있던 선박들이 한꺼번에 몰리면서 사태가 수습된 후에도 유럽을 기항하는 선박들은 운항일정 지연과 운항일수 증가를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해수부는 국내 수출기업이 겪을 수 있는 물류 차질 문제를 선제적으로 막고자 임시선박 투입을 결정했다.
해수부는 물동량 증가세가 이어지는 미주항로에도 임시선박 투입을 계속한다.
미주항로에는 이달 말과 다음 달 초에 HMM의 5천TEU급과 6천800TEU급 컨테이너선을 추가로 투입한다.
앞서 이번 달에 6천800TEU급과 6천300TEU급 컨테이너선 2척을 이미 투입했는데 미주항로의 물동량 급증에 대응해 추가로 선박을 투입하는 것이다.
국내 수출기업이 주로 이용하는 미주항로의 경우 올해 1분기 수출 물동량은 26만922TEU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4%(2만4천600TEU) 증가했다.
해수부와 국적선사는 이 기간 임시선박 7척을 투입해 늘어난 물동량의 69.2%(1만7천19TEU)를 추가 운송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1/04/24/AKR20210424025600530_01_i.jpg)
해수부는 HMM,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과 함께 중소·중견기업에 선적공간을 우선 배정하는 사업도 확대할 계획이다.
이는 미주노선 정기항로 선박에 국내 중소·중견기업 전용 선적공간 350TEU를 우선 배정하는 사업으로, 당초 올해 4월까지 지원할 계획이었으나 12월까지로 기간을 연장한다.
다음 달부터는 유럽항로 정기선박에도 이런 방안을 적용해 미주항로 회차당 350TEU, 유럽항로 회차당 50TEU의 선적공간을 우선 배정할 예정이다.
긴급화물 수요가 있는 중소·중견 수출기업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에서 운영하는 온라인수출통합플랫폼(kr.gobizkorea.com)이나 민·관 합동 수출입물류 종합대응센터(www.ielsc.or.kr)를 통해 선박일정과 선적물량 접수현황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서정호 해수부 해운정책과장은 "올해는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글로벌 물동량이 증가하고 해상운임이 상승하는 등 예년과 다른 해운 시황을 보이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수출 확대와 경기회복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국적선사와 함께 수출물류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ohye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