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물자생산법 발동해 백신·백신 재료 선점
"백신 특허 포기해 가난한 나라 돕자" 주장도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정성호 특파원 = 전 세계적으로 많은 국가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재확산으로 신음하는 가운데, 미국이 유독 백신을 풍부하게 보유해 부러움과 분노의 대상이 되고 있다고 일간 워싱턴포스트(WP)가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신문은 인도가 코로나19 하루 신규 확진자 최대를 기록하는 와중에 미국인들은 백신의 풍요를 즐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인도에서는 전체 인구의 1.4%만이 백신 접종을 마쳤으며, 환자를 감당할 수 없게 된 병원에서는 산소가 바닥나고 있다.
반면 미국은 4명 중 1명꼴로 백신 접종을 마무리했고, 인구의 40% 이상이 최소한 1차례 백신을 맞았다.
마이애미의 대형 병원인 잭슨메모리얼은 백신 수요가 줄고 있다며 접종을 줄여나가기로 했고, 미시간주(州)에서는 고교생에게 백신을 맞히고 있다.
WP는 "대체로 부국과 빈국 간, 그리고 일부 부국 간의 백신 접근에 대한 뚜렷한 격차를 두고 오랫동안 부글거렸던 논쟁이 이제 끓어 넘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가 지도자나 글로벌 인사들이 소수 국가에는 백신이 많은 반면 이를 제외한 거의 모든 곳에선 백신 가뭄이 빚어지고 있는 상황을 규탄하고 있다는 것이다.
나미비아나 케냐 같은 아프리카 국가들은 현 상황을 두고 '백신 아파르트헤이트(남아프리카공화국의 인종 차별 정책)'라고 비판하고 있고, 어떤 이들은 미국의 정책 기조 변경이나 백신의 지식재산권·상표권에 대한 재검토를 요구하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전염병 학자 마리아 밴커코브는 "윤리적으로, 도덕적으로, 과학적으로 이는 끔찍하다"고 말했다.
WHO에 따르면 미국과 영국, 이스라엘 등 백신 접종률이 높은 국가에서는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줄거나 정체된 반면 전 세계적으로는 2월 이후 주당 신규 감염자가 거의 2배로 늘었다.
세계적 백신 제조국으로 주로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을 생산하는 인도는 자국의 코로나19 상황이 악화하자 백신 수출을 대부분 차단했다. 그 결과 백신 공동구매 국제프로젝트인 코백스(COVAX)는 큰 차질을 빚고 있다.
코백스는 인도의 최대 백신 제조사인 세럼 인스티튜트로부터 초기 물량의 71%를 공급받을 예정이었는데 이런 차질로 인해 현재까지 올해 목표량 20억회분 중 4천300만회분만 실제 전달했다.
반면 인도에서는 백신과 백신 제조에 필요한 재료에 대해 수출을 금지한 미국의 정책을 비판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백신 생산을 촉진하기 위해 국방물자생산법을 발동했고, 조 바이든 행정부도 이를 계승해 백신과 백신 재료의 생산을 늘렸다.
백악관은 이 조치가 수출 금지가 아니라고 강조하고 있지만 비판론자들은 이로 인해 미국 회사들이 공급 대기줄의 맨 앞으로 새치기를 하게 되면서 비슷한 결과를 낳는다고 지적하고 있다.
조지타운대학의 로런스 고스틴 국제보건법 교수는 "저소득 그리고 중위소득 국가에는 재앙 같다"며 "특히 전 세계에 백신을 접종하는 엔진이 될 수 있는 인도 같은 나라들에는 그렇다"고 말했다.
많은 개발도상국은 미국과 다른 부유한 서방 국가들이 잠정적으로 제약사들의 지식재산권을 보류하면 전 세계적 백신 공급을 신속하게 증대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상대적으로 가난한 나라들이 상표등록된 미국 제약사 화이자나 모더나 백신의 자체 버전을 스스로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과 영국, 유럽연합(EU) 회원국들은 지난 3월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특허권을 포기하라는 세계무역기구(WTO)의 제안을 막았다.
WTO가 5월 이 문제를 다시 논의할 예정인 가운데 고든 브라운 전 영국 총리, 프랑수아 올랑드 전 프랑스 대통령, 버니 샌더스·엘리자베스 워런 미 상원의원과 조지프 스티글리츠 미국 컬럼비아대 석좌교수 등 노벨상 수상자들은 바이든 대통령에게 일시적인 면제 조치를 지지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빈곤 퇴치 비정부기구(NGO) 옥스팜 아메리카의 수석고문 니컬러스 루시아니는 바이든 행정부의 관리들이 입장을 180도 바꿔 이 제안을 수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했다고 말했다.
루시아니는 또 미 행정부가 남미와 아프리카에 백신 제조 허브를 조성하는 데 자금을 지원하는 것을 지원하는 것도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sisyph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