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백신 태부족…1차 접종자, 물량 없어 2차 접종 못 해
![](https://img.wowtv.co.kr/YH/2021-05-28/AKR20210528038900009_02_i.jpg)
(서울=연합뉴스) 홍준석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공동구매·배분 국제프로젝트인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가 저소득국가 백신 지원을 위해 2조2천억원이 추가로 필요하다고 밝혔다.
코백스는 27일(현지시간) 성명에서 "저소득국가의 백신 접종률을 30%까지 끌어올리려면 20억달러(약 2조2천억원)가 더 필요하다"며 "2022년 초 공급계획까지 확정하려면 다음 달 2일까지 자금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고 AFP통신이 보도했다.
코백스는 "인도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올해 2분기 백신 공급이 크게 타격받았다"며 "백신 부족 상황을 지금 타개하지 못하면 치명적인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전체 백신의 60%를 생산해 '세계의 백신 공장'으로 불리는 인도에서 코로나19 상황이 악화하면서, 현지 백신 수요가 증가해 공급에 차질이 생겼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코백스는 현재까지 코로나19 백신을 126개국에 7천만회분 전달했지만, 다음 달까지 계획대로 백신을 보급하기에는 1억9천만회분이 부족하다고 덧붙였다.
앞서 코백스는 프랑스, 독일, 스웨덴, 이탈리아, 스페인, 뉴질랜드, 아랍에미리트(UAE) 등 국가로부터 코로나19 백신을 기부받기로 했다.
미국도 백신 8천만회분을 기부하기로 했지만, 어느 나라에 어떻게 배분할 것인지는 아직 공개하지 않았다.
한편 코백스를 주도하는 세계보건기구(WHO)도 이날 아프리카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시급히 공급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냈다.
맛시디소 모에티 WHO 아프리카 담당국장은 "6주 안에 아프리카에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2천만회분을 전달해야 한다"며 "1차 접종을 했는데도 백신 물량이 없어 2차 접종을 못 하는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모에티 국장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8∼12주 간격으로 접종해야 81% 예방효과를 낼 수 있다"며 "오는 9월까지 아프리카 인구 10%가 백신 접종을 마치려면 2억회분이 추가로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국제통계사이트 월드오미터에 따르면 전날 기준 아프리카의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483만593명이며, 이 중 12만9천620명이 숨졌다.
honk0216@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