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보다 3.7% 증액…디지털·그린뉴딜 사업 집중 추진
![](https://img.wowtv.co.kr/YH/2021-05-31/PCM20210201000164990_P2.jpg)
(서울=연합뉴스) 윤보람 기자 = 디지털 전환, 탄소중립 등 디지털·그린뉴딜 분야를 중심으로 올해 산업융합 정책에 약 3조6천억원의 재정이 투입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1일 2021년도 제2차 산업융합 규제특례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이런 내용의 '제2차 산업융합발전 기본계획 2021년도 실행계획'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했다.
정부는 올해 ▲ 산업 디지털 전환 ▲ 탄소중립·비대면 등 메가 트렌드 대응 ▲ 융합 생태계 조성 ▲ 규제 개선 등 4대 전략에 따라 산업융합 정책을 추진한다.
총 11개 부처에서 163개 사업을 추진하며 총 3조5천929억원의 재정이 투입된다. 전체 재정 투입 규모는 작년보다 3.7% 많다.
특히 디지털·그린 뉴딜과 비대면 혁신 분야에 총 예산액의 절반 이상(51.1%)이 집중적으로 투입된다. 분야별 투입액은 디지털 뉴딜 1조1천429억원, 그린 뉴딜 4천410억원, 비대면 혁신 2천532억원이다.
구체적인 사업으로는 탄소거래 및 마이크로그리드 등 디지털·에너지 융합 신(新)서비스 육성,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개발, 자율주행 테스트베드 완공 등을 추진한다.
디지털 산업혁신 펀드 조성, 산업 디지털 전환 협업지원센터 개소, K-스마트 등대공장 구축 등에도 나선다.
이밖에 스마트 자동화 항만 기술개발, 융복합 의료기기 개발 등 다양한 사업이 진행된다.
이번 실행계획에는 지난해 주요 산업융합 실적·성과도 반영됐다.
작년에는 총 3조4천636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총 11개 부처에서 167개 사업을 벌였다.
5G 기반 자율주행융합기술 실증 플랫폼, 전기차 충전 서비스 산업 육성, 친환경 수소연료 선박 연구개발(R&D) 플랫폼 구축 등 신산업 분야에 집중적인 투자가 이뤄졌다.
또한 스마트팜 혁신밸리 조성, 어업현장 문제 해결을 위한 자동화 기술 개발 등 1·2차 산업 혁신과 스마트 도로조명을 활용한 도시재난안전관리 서비스 개발 등 신서비스 시장 창출을 위한 사업이 추진됐다.
bryoo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