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채·위험선호 등 금융불균형 심화…미래 금융안정·성장 저해 우려"
일부 위원 "아직 경기·코로나19 불확실성 있으니 당분간 완화 기조 유지"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지난달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 회의 과정에서 상당수 위원들이 현재 이례적으로 완화적인 통화정책과 낮은 기준금리를 점진적으로 정상화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내놨다.
이를 근거로 이주열 한은 총재도 최근 잇따라 연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은이 15일 홈페이지에 공개한 금통위 의사록(5월 27일 개최)에 따르면 통화정책방향 관련 토론에서 한 위원은 경제주체들의 위험선호 경향과 레버리지(차입투자) 증가를 지적하면서 "경제 회복세가 확산됨에 따라 금리 수준의 점진적 정상화는 이런 금융 불균형 심화를 차단하고, 미래 금융 불안정의 소지를 줄이기 위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금과 같은 이례적 통화 완화기조의 장기간 지속은 향후 금리 정상화 과정의 비용을 더 크게 할 것으로 판단된다"며 "통화정책 완화 정도를 조정해 나가는 것이 경제회복세에 다소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도 있지만, 주요국들의 강한 경제 회복세, 국제 금융시장 안정세 등을 고려할 때 부정적 영향은 상당 부분 완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른 위원도 "신용(빚) 증가와 자산 가격 상승 간 상호작용이 과도할 경우 금융 불균형 누적 위험으로 이어지면서 미래의 금융안정이나 경제성장의 지속가능성을 저해할 수 있다"며 "완화적 정책기조 지속에 대한 기대가 상존하는 가운데 레버리지를 활용한 가계의 수익 추구 성향이 강화되고, 최근 대내외 경기회복과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레버리지의 추가 확대 유인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는 만큼 관련 리스크(위험)에 대한 통화정책적 고려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회의에서는 기준금리를 0.50%의 현 수준에서 동결하되 향후 실물경기의 추가 확대 여부, 물가 경로 추이, 그리고 가계부채를 비롯한 금융불균형 위험 심화 가능성 등을 주시하면서 적절한 시점에 통화정책 완화 정도를 조금씩 조정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또 다른 위원 역시 "최근의 실물·금융 상황과 앞으로의 경기 및 물가 흐름을 감안할 때 코로나19 충격에 대응한 통화정책의 완화적 기조를 다소 조정해 나가는 것을 고민할 시점"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경기 회복의 불확실성 등을 근거로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를 바꾸는데 신중한 입장을 내비친 위원들도 있었다.
한 위원은 "최근 실물경제 여건이 호전돼 가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코로나19와 백신 보급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으므로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고 주장했다.
다른 위원도 "우리 경제는 수출과 투자를 중심으로 확장세를 이어가면서 인플레이션(물가상승)도 하방 압력에서 벗어났으나, 팬데믹(대유행) 이전의 잠재성장 추세로 되돌아가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국내총생산의 증가가 가계소득·임금·고용·소비의 확장세로 이어지는 데에도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인플레이션이 하방 압력에서 벗어났다고 하더라도 한은이 중기적 시계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 수준에 미달하는 수준인데다, 경기확장의 탄력을 선제적으로 제어할 뚜렷한 이유가 없는 만큼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0.50%로 동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기준금리 인상 필요성과 코로나19 관련 불확실성을 동시에 강조한 위원도 있었다.
한 위원은 ""국내 경제의 회복세가 강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금융안정 측면의 리스크도 확대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코로나19 위기 상황에 대응해 이례적 수준으로 완화했던 통화정책 기조의 일부 조정을 검토해 나갈 필요가 있다"면서도 "아직은 코로나19 전개 상황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남아있는 점을 감안해 당분간 완화기조를 유지하면서 금융·경제 상황 변화에 대한 인식과 이를 고려한 정책 방향에 대해 경제주체들과 긴밀히 커뮤니케이션(의사소통)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shk99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