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원 조사서 104주 동안 8.17% 올라…서초구 13.12% '최고 상승'
래미안옥수리버젠 84㎡ 보증금 2년전 6억5천만원→이달 12억원 '껑충'
반포동 재건축 이주수요로 서초·강남·성동·동작구 등 전세난 확산 우려
![](https://img.wowtv.co.kr/YH/2021-06-17/PYH2020120116710001300_P2.jpg)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최근 2년 동안 단 한 주도 내리지 않고 상승세를 이어온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7월 임차인 보호를 위해 임대차 2법을 전격 도입했지만, 좋은 입법 취지에도 불구하고 전세 품귀에 전셋값 급등 등 부작용이 나타나면서 세입자들의 시름은 더 깊어졌다.
17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시계열 자료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2019년 7월 첫째 주부터 지난주까지 102주 동안 단 한주도 쉬지 않고 상승했다.
2019년 6월 2주 -0.01%에서 3∼4주 보합(0.00%)으로 전환한 것까지 합하면 꼭 2년(104주) 동안 한 번도 내리지 않고 상승세를 이어왔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2019년 11월 분양가 상한제 시행에 따른 공급 부족 우려에 대입 정시 확대와 자사고·특목고 폐지 등 입시제도 변화까지 겹치며 강남·목동 등 학군 인기 지역을 중심으로 큰 폭으로 오르기 시작했다.
![](http://img.yna.co.kr/photo/cms/2020/06/25/17/PCM20200625000117990_P2.jpg)
2019년 12월 주간 기준으로 0.23%까지 올랐던 서울 전셋값은 지난해 초부터 상승 폭을 줄이기 시작해 작년 2∼5월 0.05∼0.01% 수준으로 오름폭이 둔화하며 안정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작년 6·17 대책에 재건축 아파트에 대한 2년 실거주 의무 방침이 담기면서 매물이 줄기 시작했고, 작년 7월 말 전격 도입된 임대차 2법 시행 후 전세 품귀가 심화하고 전셋값이 급등했다.
작년 7∼12월 서울 전셋값은 최소 0.08%에서 최대 0.17% 수준으로 매주 크게 올랐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임차인 주거 안정을 위해 도입한 임대차 2법이 역설적으로 전세난이 가중됐다"며 "계약갱신청구권을 활용해 기존 주택에 2년 더 눌러앉는 세입자가 늘면서 물건이 급감했고, 2년에 5% 안에서 보증금을 올릴 수 있게 된 집주인들이 보증금을 미리 올려 받으려 하면서 전셋값도 급등했다"고 분석했다.
![](http://img.yna.co.kr/photo/yna/YH/2020/12/01/PYH2020120118900001300_P2.jpg)
재작년 6월 셋째 주부터 지난주까지 2년간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8.17% 올랐다.
지역별로는 서초구가 13.12% 올라 가장 많이 상승했으며 강남구(12.87%)와 송파구(11.38%)가 그 뒤를 이어 고가 전세가 많은 '강남 3구'가 전셋값 상승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 3구'에 이어 동작구(10.51%), 마포구(9.34%), 성동구(8.90%) 등 신흥 고가 아파트 밀집 지역의 전셋값 상승세도 뚜렷했다.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퍼스티지 전용면적 84.93㎡의 경우 지난달 14일 보증금 20억원(2층)에 전세 계약서를 쓰며 2년 전(12억5천만원 수준)과 비교해 7억5천만원 안팎으로 급등했다.
성동구 옥수동 래미안옥수리버젠 전용 84.51㎡도 2019년 3월 보증금 6억5천만∼6억6천만원(16층·12층)에서 이달 11일 12억원(12층)으로 2년여 만에 전셋값이 2배 가까이 뛰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올해 2·4 주택 공급대책 발표 이후 상승 폭이 둔화했으나 지난달부터 다시 오름폭을 키우고 있다.
![](http://img.yna.co.kr/photo/yna/YH/2021/05/19/PYH2021051909570001300_P2.jpg)
반포동 재건축 아파트 이주수요로 물건이 귀해지면서 서초구는 물론 인근 강남·동작·성동구로도 수요가 옮겨가며 전세 불안을 키우는 모습이다.
4월 마지막 주 보합세(0.00%)였던 서초구 아파트 전셋값은 5월 첫째 주부터 이달 첫째 주까지 6주 연속(0.01→0.04%→0.07%→0.16%→0.26%→0.39%) 매주 상승 폭을 크게 확대하며 불안한 모습이다.
부동산원은 "서울 전셋값은 그동안의 급등 피로감과 계절적 비수기 등 영향으로 대체로 안정세를 보였으나 반포동 등의 정비사업 이주 수요 등으로 전체적으로 상승 폭이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dk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