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궤도 통신위성 등 10대 전략기술 육성…위성망·지상망 통합
주요국 공조 강화 및 국제표준 주도…올해 3개 대학 연구센터 지정
(서울=연합뉴스) 조성흠 기자 = 정부가 차세대 6G 통신의 핵심기술 개발을 위해 향후 5년간 2천200억원을 투자하고 한미 공동연구를 추진한다. 국제표준 논의를 주도하고자 관련 기구에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전문인력도 본격적으로 양성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최근 한미 정상회담 후속 조치로서 다가올 6G 시대 선도를 위한 민관 합동 '6G 전략회의'를 열어 '6G 연구개발(R&D) 실행계획'을 수립했다고 23일 밝혔다.
이에 앞서 지난달 22일 열린 정상회담에서 한미 양국은 6G에 대한 미래지향적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공동연구 등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번에 수립한 6G R&D 실행계획은 ▲ 차세대 핵심 원천 기술 확보 ▲ 국제표준·특허 선점 ▲ 연구·산업 기반 조성에 대한 세부 내용을 담았으며, 과기정통부는 이번 계획 추진을 위해 2025년까지 2천2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우선 차세대 핵심 원천기술 확보를 위해 당장 민간이 적극적으로 투자하기 어려운 저궤도 통신위성, 초정밀 네트워크 기술 등 6대 중점 분야 10대 전략 기술에 2025년까지 2천억원을 투자한다.
특히 플라잉카, 드론 등 비행체는 물론 해상·재난지역에서도 기가급 통신을 이용할 수 있도록 위성망·지상망 통합에 나선다.
이를 위해 2031년까지 14기의 검증용·실증용 저궤도 위성을 발사하는 '위성통신기술 발전전략'도 함께 추진한다.
올해는 계획 첫해로 분야별 기술요구 사항을 정립하고 요소 기술을 설계하는 등 원천기술 확보의 기틀을 마련하며 핵심 장비 및 부품 국산화의 기반을 조성한다.
해외 주요국과 공조 체계를 구축하고자 미국, 중국, 핀란드 등과 6G 핵심기술의 공동연구 및 6G 주파수의 국제협력을 추진하고, 11월에는 6G 글로벌 국제행사도 개최한다.
국제표준을 선도하고자 6G 비전 정립 단계부터 더욱 주도적 역할을 모색한다. 표준특허 확보 가능성이 큰 6G 핵심기술에 대해선 특허청과 협력해 R&D 자금과 특허 확보 전략 맵을 패키지로 지원한다.
올해 3개 대학에 6G 연구센터를 지정·운영하면서 석·박사급 인력 양성을 유도하는 등 연구·산업 기반을 조성하기로 했다. 중소·중견기업과 대학·연구소가 공동으로 R&D에 참여하는 식으로 실무 인력의 6G 역량 강화도 촉진한다.
아울러 이날 회의에서는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이 미국 국립과학재단(NSF)과 공동연구 협력 양해각서를 맺고 양국 간 6G 분야 공동연구를 본격 추진하기로 했다.
과기정통부는 ▲ 기술·표준화 ▲ 위성·주파수 ▲ 글로벌 등 3대 분과위원회를 통해 민관 협력 활동을 벌이는 등 관련 R&D를 차질 없이 이행할 계획이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차세대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디지털 혁신의 근간인 만큼 네트워크 분야에서 우리가 가진 경험과 노하우를 기반으로 6G 시대에도 글로벌 시장을 이끌어 나갈 수 있도록 민간과 정부가 함께 과감하고 도전적인 역할을 해나가자"고 당부했다.
jos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