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고용실태 전문가 간담회…"비전형 고용시장서 여성 고용 충격 커"

(서울=연합뉴스) 오예진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본격 확산한 지난해 6∼8월 가사도우미 등 여성 비전형 근로자가 받은 시급이 남성 비전형 근로자의 82.1% 수준으로 1년 새 10.4%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분석됐다.
비전형 근로자란 파견근로자, 용역근로자, 가정 내 근로자, 단기 근로자 등을 아우르는 개념이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23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여가부 주최로 열린 '제6차 여성 고용실태 분석 및 정책과제 발굴 전문가 간담회'에서 이런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고 여가부는 24일 밝혔다.
여성정책연구원이 지난해 8월 진행된 정부의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6∼8월 비전형 여성 근로자의 시급은 남성의 82.1%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10.4%포인트 하락했다.
특히 여성 비전형 근로자의 임금 하락 폭은 전체 비정규직 중에서 가장 컸다.
같은 기간 비정규직 여성의 시급은 남성의 80.6%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3.5%포인트 낮아졌다.
지난해 8월 비정규직 여성 근로자는 409만1천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3만5천명 감소했고, 비정규직 남성 근로자는 333만5천명으로 2만1천명 줄었다.
비전형 여성 근로자는 86만1천명으로 5만9천명 감소한 반면, 비전형 남성 근로자는 121만2천명으로 8만7천명 증가했다.

여성정책연구원은 이에 대해 배달 등 남성 취업자가 집중된 플랫폼 일자리는 증가했지만 학습지 교사, 가사서비스 등 여성 취업자가 다수인 비전형 시장은 고용 충격이 컸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김경선 여가부 차관은 간담회에서 "플랫폼 등 비전형 노동시장의 확대가 전망되는 가운데 노동시장에서도 성별 업종 분리 등 성별 격차가 나타나는 것이 확인됐다"면서 "플랫폼 등 비전형 노동시장에서의 여성 일자리 실태를 면밀히 살펴보고 사회보험 가입 확대 등 근로조건 개선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ohye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