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양=연합뉴스) 차병섭 특파원 = 중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국경 왕래 규제를 최소 내년에도 유지할 것이라는 일각의 관측과 관련, 중국 정부가 "과학적 분석에 기초해 방역 조치를 확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24일 펑파이 등 중국매체에 따르면 자오리젠(趙立堅)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전날 정례브리핑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은 미국매체 월스트리트저널(WSJ) 보도와 관련해 원론적 입장을 내놨다.
중국은 코로나19 음성확인서 제출 등 입국조건을 강화했을 뿐만 아니라 입국자에게 최소 2~3주간 시설·자가 격리하도록 하고 있으며, 자국 내 코로나19 환자 발생 시 즉각적인 봉쇄·격리와 대규모 감염여부 검사 등을 하고 있다.
WSJ에 따르면 복수의 소식통은 중국의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10억 회분을 넘겼지만, 중국 관리들이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의 출현과 내년 민감한 행사를 앞두고 통제조치 유지를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중국은 내년 2월 베이징(北京) 동계 올림픽 개최를 앞두고 있지만, 대회 기간 외국 관중 입국 허용 여부에 대해서는 아직 발표하지 않고 있다.
중국은 또 내년 가을 주요 정치행사인 중국공산당 20차 당대회를 앞두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시진핑(習近平) 국가 주석이 장기 집권 구도를 명확히 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상황이다.
자오 대변인은 "(WSJ 보도 관련) 상세한 상황은 모른다"면서도 "중국은 코로나19 확산 후 여러 국가의 조치와 국제관례를 참고했으며, 항상 질병 상황의 변화발전에 따라 과학적이고 동태적으로 입국자 관리 조치를 조정해왔다"고 말했다.
이어서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가 여전히 만연하고 바이러스도 계속 변이하고 있다"면서 "중국은 코로나19 형세의 발전에 근거하고 과학적인 분석에 기초해 방역 조치를 총괄·확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중국은 방역 안전 확보를 전제로 건강하고 안전하며 질서 있는 중국과 외국 간 인적 왕래 질서를 적극적으로 구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bsch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