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남권 기자 = 오는 7일이면 금융감독원장 자리가 공석이 된 지 두 달을 넘기게 된다.
유력 후보에 대해 이렇다 할 하마평이 없어 금감원장 대행 체제의 장기화 우려도 나온다.
![](https://img.wowtv.co.kr/YH/2021-07-04/PCM20200218000141990_P2.jpg)
4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감원은 윤석헌 전임 원장이 5월 7일 퇴임한 이래 김근익 수석 부원장이 원장을 대행하는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금감원이 1999년 출범한 이래 원장 공백이 이렇게 길었던 적은 없다.
애초 교수 출신 후보들이 유력한 후보로 떠올랐으나 청와대 검증 과정 등을 거치면서 낙마한 것으로 전해진다.
관료 출신 후보들의 경우 정치권이 대선 국면에 접어든 상황에서 임기 말에 접어든 문재인 정부의 마지막 금감원장 수장 자리를 꺼린다는 얘기가 나돈다. 내년 정권 교체 여부에 따라 자리 보장이 불확실할 수 있다는 점 등이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다.
후임 원장 자리가 언제 채워질지 모르는 상황이라 금감원이 현안 처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수석 부원장 대행 체제에서는 주요 현안 처리에 어느 정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사모펀드 사태의 제재심, 키코(KIKO) 피해기업 보상 등 금감원에는 아직 해결하지 못한 과제들이 남아있다.
이와 관련 금감원 관계자는 "김 부원장 대행 체제에서 현안은 큰 무리 없이 처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대선 국면에서 불거질 가능성이 있는 금융감독체계 개편 문제에도 대응할 준비를 해야 한다.
윤 전 원장 임기 말기에 채용 비리 연루 직원의 승진을 둘러싼 내분이 있었던 만큼 새로운 리더십이 빨리 갖춰져 조직 분위기를 다잡기를 바라는 기류도 금감원 내부에 흐르고 있다.
물론 유력한 인물은 없으나 후보자가 낙점되면 검증을 거쳐 선임까지 급물살을 탈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금감원장은 금융위 의결을 거쳐 금융위원장이 제청하면 대통령이 임명한다.
다만 해양수산부 장관에 더해 감사원장 자리도 채워야 하는 상황에서 금감원장 임명이 뒷순위로 밀리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kong7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