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브란스병원 연구팀, AI 알고리즘 개발…예측력 82%
(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 = 폐암 환자의 임상 정보를 바탕으로 면역항암제의 치료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이 개발됐다.
면역항암제는 인체의 면역체계를 활성화해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게 하는 치료제로, 환자에 따라 효과가 달리 나타날 수 있어 적합한 환자군을 찾아 투여하는 게 중요하다.
연세암병원 종양내과 김혜련·홍민희·안병철 교수와 연세대 의과대학 표경호 교수 연구팀은 테라젠바이오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비소세포폐암에서 면역항암제 치료 반응을 예측하는 머신러닝 기반의 알고리즘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폐암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은 대개 면역항암제 치료에 앞서 암세포 표면의 단백질인 'PD-L1' 발현량을 측정하는 검사를 받는다. 면역항암제 치료반응을 예측하기 위해서다.
대개 PD-L1 발현량이 많을수록 면역항암제의 치료 효과가 높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혀 발현되지 않아도 면역항암제에 반응하는 환자가 있고, 높은 발현량에도 불구하고 약물이 듣지 않는 경우도 있다. 현재 PD-L1을 이용한 치료반응 예측력은 64% 정도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세브란스병원에서 PD-L1 지표를 활용해 치료를 받은 비소세포폐암 환자 142명의 데이터를 활용해 면역항암제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만들었다.
알고리즘에는 기존 PD-L1 발현 외에 나이, 성별, 종양 크기, 전이된 위치, 일반적인 혈액검사 결과 등 총 19가지 임상 데이터가 반영됐다.
그 결과 알고리즘의 예측력이 82%에 달해 기존에 면역항암제의 치료 반응을 예측하는 진단키트보다 우수했다.
김혜련 교수는 "알고리즘 개발을 통해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면역항암제 치료반응을 더 정확하게 예측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실제 면역항암제 및 병용 투여 임상 등에 적용할 수 있도록 후속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유럽암학회지'(European journal of Cancer)에 게재됐다.
jand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