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 미화에 유골 사용되는 것 막으려 한 듯
(도쿄=연합뉴스) 박세진 특파원 = 일본과의 태평양전쟁에서 승리한 미국이 전범들의 사후 신격화 가능성을 우려했음을 보여주는 문서가 또 발견됐다.
아사히신문은 23일 태평양전쟁 BC급 전범 사형수 시신을 일본 측에 인계하지 말고 화장해 바다에 뿌리라는 지시내용이 담긴 문서를 니혼(日本)대학의 다카자와 히로아키(高澤弘明) 전임강사가 입수해 공개했다고 보도했다.
도조 히데키(東條英機·1884∼1948) 등 A급 전범 사형수 7명의 시신이 화장 후 바다에 뿌려졌음을 보여주는 미군 문서는 다카자와 강사가 입수해 지난달 일본 언론을 통해 먼저 공개됐다.
이번에 같은 취지의 BC급 전범 관련 문서가 확인된 것이다.
미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에서 다카자와 강사가 비밀지정이 해제된 뒤 찾아낸 이 문서의 제목은 '처형된 전범 매장·묘지등록에 관한 최종 처분 및 방침'이다.
1948년 8월 3일 자로 연합군총사령부(GHQ) 및 미 극동군 최고사령관을 겸하고 있던 더글러스 맥아더 원수의 명령으로 극동군 산하의 미 육군 8군과 필리핀 주둔 미군에 전달됐다.
![](https://img.wowtv.co.kr/YH/2021-07-23/AKR20210723093700073_01_i.jpg)
이 문서에는 처형한 전범의 시신은 화장한 뒤 유골을 바다에 버리고, 이미 매장한 전범 시신은 조속히 수습해 같은 방식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이 문서가 생산된 시점은 일본 요코하마와 필리핀 마닐라에서 포로나 주민 학대 등 통상의 전쟁범죄를 저지른 BC급 전범에 대한 재판이 진행 중이고, 일부의 사형이 집행되기도 한 시기였다.
또 침략전쟁을 기획하거나 시작한 수뇌부인 A급 전범들이 극동국제군사재판(도쿄재판)을 받고 있을 때다.
A급 전범 7명의 사형 집행은 1948년 12월 23일 0시쯤 도쿄 스가모 형무소에서 이뤄진 뒤 당시 미8군 사령부가 있던 요코하마로 옮겨져 화장됐다.
화장 후 수습된 유골은 전범의 묘가 신성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요코하마 동쪽 48㎞ 태평양 상공에서 뿌려졌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1/07/23/AKR20210723093700073_02_i.jpg)
아사히신문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일본 측에 시신을 넘기지 말라'는 내용을 포함하는 BC급 전범 관련 문서를 통해 전쟁 미화에 전범 유골이 사용되지 않도록 하는 것에 미군이 얼마나 신경을 썼는지 엿볼 수 있지만 BC급 전범 재판이 연합국을 구성한 7개국이 각지에서 진행해 미 극동군의 산골 지시가 100% 이행됐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전했다.
실제로 일본 후생노동성에 따르면 BC급 전범 유골을 수습해 간 사례가 여러 건 보고됐다고 한다.
BC급 전범재판에서 일본의 군인·군속(군무원) 신분으로 사형당한 사람은 920명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조선인 148명도 포로 학대 등의 혐의로 B·C급 전범으로 재판에 넘겨져 23명이 사형대에 섰다.
parksj@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