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사태 이후 15개월째 역전 현상
![](https://img.wowtv.co.kr/YH/2021-08-17/AKR20210813148600030_01_i.jpg)
(서울=연합뉴스) 박상돈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방한 외국인 가운데 관광객이 항공기·선박 승무원보다 적은 역전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17일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42만 명 중 관광 목적 외국인은 17.5%인 7만3천 명에 그쳤다.
이는 지난해 동기보다 95.4% 감소한 것이다.
관광 목적 외에 사업 목적(상용) 8천800명, 공무 목적(공용) 5천900명, 유학·연수 3만4천 명, 기타 29만8천 명 등이다.
기타에 항공기·선박 승무원이 포함돼 있는데 20만8천 명이다.
방한 외국인 가운데 관광객이 항공기·선박 승무원의 35.3% 수준에 그친 셈이다.
지난해 상반기만 해도 외국인 관광객은 158만7천 명으로 승무원(18만4천 명)의 8.6배였고 그전에는 격차가 더 컸다.
그러나 코로나19 사태로 외국인 관광객이 급감하자 지난해 4월부터 올해 6월까지는 15개월째 역전 현상이 벌어졌다.
상반기 방한 외국인 관광객을 국적별로 살펴보면 미국이 2만5천116명으로 가장 많지만 지난해 동기보다는 69.7% 줄었다.
코로나19 사태 전 외국인 관광객이 가장 많았던 중국은 6천301명으로 98.6% 줄었고 일본은 198명에 그쳤다. 일본은 2019년 상반기에는 160만8천 명이었고 지난해 상반기에는 40만7천 명이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1/08/13/AKR20210813148600030_02_i.jpg)
이는 각국이 백신 접종에 나섰지만 코로나19 유행이 반복돼 여전히 해외여행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중국은 코로나19 사태 후 한국으로 오는 항공 노선을 대폭 줄였고 일본은 양국 간 관광 목적 방문객에 대한 입국 제한 조치를 이어가고 있다.
국내관광을 위해서는 입국 시 2주일간 격리되고 국가에 따라 돌아가서도 2주간 격리될 수 있다.
정부가 해외여행자의 격리를 면제하는 '트래블 버블(Travel Bubble·여행안전권역)'을 추진하고 있지만 각국에서 코로나19가 재확산해 당분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한국여행업협회는 최근 이런 상황 등을 고려해 외교부에 여행경보 제도 개선을 요청했다.
전 국가·지역을 대상으로 한 해외여행 특별여행주의보가 1년 4개월 이상 지속 발령되고 있는데 이를 국가·지역별 특성을 반영해 차등(선별) 적용해 달라는 것이다.
kak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