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상은 2년9개월만…가계부채·집값·물가 억제에 초점
올해 성장률 4.0% 전망 유지…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8→2.1% 올려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지난해 코로나19의 여파로 사상 최저 수준(0.5%)까지 낮아진 기준금리가 15개월 만에 처음 0.25%포인트(p) 올랐다.
경기 방어 차원에서 막대한 돈을 푼 '초저금리 시대'가 1년 반만에 막을 내렸다는 뜻이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는 26일 통화정책방향회의에서 현재 연 0.5%인 기준금리를 0.75%로 0.25%포인트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작년 3월 '빅컷'(1.25%→0.75%)과 5월 추가 인하(0.75%→0.5%)로 2개월 만에 0.75%포인트나 내린 이후 아홉 차례의 동결을 거친 끝에 15개월 만에 인상을 단행했다.
기준금리 인상은 2018년 11월(1.50→1.75%) 이후 2년 9개월(33개월) 내 처음이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오는 11월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 개시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금통위가 선제적으로 통화정책 정상화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시장에서는 금통위가 10월 또는 11월 회의에서 한 차례 0.25%포인트 기준금리를 더 올려 1% 수준에 맞출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금통위가 금리 인상을 단행한 것은 무엇보다 금융 불균형을 서둘러 시정해야 한다는 위기감 때문이다.
풍부한 유동성이 부동산과 주식시장 등 자산시장으로 쏠려 가계대출이 급증했는데, 향후 자산시장 거품이 꺼질 경우 가계부채발 금융시스템이 붕괴할 가능성을 우려하는 것이다.
이주열 한은 총재도 지난 5월 금통위 이후 이런 위험을 여러 차례 강조하며 금리 인상을 예고해왔다.
이 총재는 지난달 15일 금통위 회의 직후 "최근 경제 주체들의 위험 선호, 차입에 의한 자산투자가 이어졌다"며 "건전성 규제 강화에도 불구하고 저금리가 장기간 유지될 것이라는 기대가 있는 한 거시건전성 규제도 한계가 있다. 금융 불균형 문제를 거시건전성 정책과 함께 거시경제 여건이 허락하는 범위 안에서 통화 정상화로 대처해 나갈 필요성이 커졌다"고 강조했다.
금리 인상에는 국내 경기 회복세가 탄탄하다는 한은의 판단도 깔려있다.
금통위는 의결문에서 "코로나 관련 불확실성이 이어지고 있으나, 국내 경제가 양호한 성장세를 지속하고 물가가 당분간 2%를 상회하는 오름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므로, 앞으로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점진적으로 조정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수출과 투자 호조가 지속되는 가운데 민간소비가 백신 접종 확대, 추경(추가경정예산) 집행 등으로 점차 개선되면서 국내 경제가 회복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진단이다.
한은은 이날 발표한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도 4.0%를 유지했다. 반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1.8%에서 2.1%로 올렸다.
이날 기준금리 인상으로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기준금리(0.00∼0.25%)와 격차는 0.5∼0.75%포인트(p)로 커졌다.
shk99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