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에 주택 매수심리 위축…기 대출자는 이자부담 골머리(종합)

입력 2021-08-26 16:06  

금리인상에 주택 매수심리 위축…기 대출자는 이자부담 골머리(종합)
대출 조이기에 금리까지 오르자 실수요자들 관망세 전환 분위기
가을 이사철 겹쳐 무주택자 부담 커질 듯




(서울=연합뉴스) 홍국기 기자 = "금리도 인상된 마당에 청약 포기하고 집을 사는 건 좀 아니겠죠?"
26일 한국은행이 연 0.5%인 기준금리를 0.75%로 0.25%포인트 인상한 직후 국내 최대의 부동산 인터넷 커뮤니티에는 이런 글이 올라왔다.
글쓴이는 "당장 공급이 가뭄이지만, 재건축이 활성화하고 역세권 고밀개발이 되면 물량이 어느 정도 풀리지 않을까요? 전세금 인상만 잘 버텨낸다면 결국 청약이 서울에서 신축 (아파트를) 장만하기에 가장 좋은 방법 아닐까요?"라며 답답한 마음을 토로했다.
내 집 마련을 위해 대출을 앞둔 다른 글쓴이는 "변동금리 연 2.8%, 고정금리 연 3.3% 중에서 고민 중이었는데, (방금) 변동금리 연 3.2%라는 문자가 왔다"고 전했다.
또 다른 글쓴이는 "금리 0.25%포인트 올려도 사실 대출이자는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라면서도 "그래도 빚부터 갚아야겠다는 생각이 들면서 투자가 망설여진다"고 썼다.
부동산 규제와 가격 급등에 따른 피로감에 더해 최근 가계부채를 억제하기 위한 금융 당국의 대출 조이기 기조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은행권에서만 가계대출 잔액이 9조7천억원 급증하는 등 가계부채 증가세가 꺾이지 않자 당국은 금융권에 강력한 대출 총량 관리 방안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에 일부 시중은행이 대출을 제한하거나 중단한 상황이다.



여기에 한은의 금리 인상 결정이 더해지면서 가뜩이나 관망세였던 주택 매수세가 더욱 움츠러드는 분위기다.
이날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들어 서울아파트 매매는 1월 5천796건, 2월 3천874건, 3월 3천789건, 4월 3천666건, 5월 4천896건, 6월 3천937건, 7월 4천534건, 8월 1천149건을 기록 중이다.
이달이 아직 끝나지 않았고, 지난달도 아직 등록 신고 기한(30일)이 남아 매매 건수가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이달은 며칠 남지 않은 상황이어서 올해 들어 가장 적은 거래량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 다세대·연립주택 매매 건수 추이(5천838건→4천479건→5천147건→5천714건→6천20건→5천477건→4천680건→1천489건)도 아파트와 비슷한 상황이다.
박합수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이번 금리 인상으로 실질적인 부담은 크지 않지만, 추가 인상 우려까지 고려하면 실수요자들도 주택 매수를 관망할 수 있다"며 "단기급등에 따른 부담감, 대출 규제 강화, 금리 인상까지 삼중고를 감내해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7월부터 시행된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 등 강화된 대출 규제와 더불어 대출 의존도가 높은 매수세는 위축될 수밖에 없다"면서 "금리 인상으로 실수요자들의 매수세는 줄어들 수밖에 없어 전반적으로 거래량은 더욱 감소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진단했다.



이미 대출을 받은 기대출자들은 늘어나는 이자 부담을 걱정해야 할 판이다.
이날 커뮤니티에 글을 올린 한 작성자는 "이번 금리 인상으로 주변에 무주택 영끌한(영혼까지 끌어모은) 전세 대출자, 무주택 소규모 자영업자, 무주택 소규모 사업자 몇몇은 패닉(공황)에 빠졌다"고 말했다.
또 다른 작성자는 "금리를 0.5%에서 0.75%로 올리면 최저점 대비 50% 이자 부담이 늘어난 것"이라며 "(한은이 예고한 대로 조만간 또 금리를 올리면) 지금 내가 내는 이자 대비 급속도로 부담액이 늘어난다는 말"이라고 적었다.
금리 인상에 전세 대출자들이 매매 대출자보다 단기적으로 더 큰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한 글쓴이는 "70∼80% 대출받은 전세대출자들이 더 걱정"이라며 "4억만 빌려도 이자가 5%면 1년 이자가 2천만원"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집주인(매매 대출자)은 40%만 대출되고 그것도 고정금리로 가능하며 40년 만기로 이자를 조금씩 납부하다 보면 결국 내 집이 된다"며 전세대출은 원금 상환 없이 이자만 주구장창 나간다"고 덧붙였다.
가을 이사철을 앞둔 시점이어서 무주택자들의 어려움이 커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김효선 전문위원은 "대출 규모는 줄고 비용은 늘어나면서 실수요자나 취약 차주 중심으로 위험이 클 수 있다"며 "가을 이사 철을 앞두고 전세대출 수요가 집중되면서 전세시장 불안은 더욱 커질 우려가 있다"고 예상했다.
redfla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