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가재 업계 "어업에 경제적 부담…어업인 생계 위협"
환경단체 "새 규정으론 부족…규정 강화해야"
![](https://img.wowtv.co.kr/YH/2021-09-01/AKR20210901085600009_01_i.jpg)
(서울=연합뉴스) 김진방 기자 = 미국 정부가 멸종 위기인 북대서양참고래를 보호하기 위해 바닷가재와 게 잡이에 사용되는 어구에 관한 규정을 강화했다고 31일(현지시간) AP 통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미국 국립해양대기국(NOAA)은 이날 북대서양참고래를 보호하기 위해 낚시 도구 등에 관한 새로운 조업 규정을 발표했다.
현재 개체 수가 360여 마리에 불과한 북대서양참고래는 바닷속 낚시 도구로 인한 엉킴 사고에 취약하다고 AP는 소개했다.
NOAA는 새로운 규정이 북대서양참고래가 낚시 도구에 엉켜 겪을 수 있는 사망 위험과 심각한 부상 위험을 약 70% 줄일 수 있다고 예상했다.
새 규정은 바닷속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조업 도구 수를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NOAA는 이 규정이 바닷가재와 게잡이 어구의 밧줄 수를 줄이고, 고래가 어구에 얽힐 경우 더 쉽게 빠져나오도록 약한 밧줄을 사용하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NOAA는 또 바닷가재나 게잡이를 금지하는 해양의 영역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마이클 펜토니 NOAA 대서양지방산청 지역 담당자는 "새 규정은 바닷가재와 게잡이 어업이 계속해서 번창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고래들이 상업용 어구에 심하게 다치거나 사망할 위험을 현저히 줄여 줄 것"이라고 말했다.
바닷가재 어업계는 NOAA의 새 규정이 업계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NOAA가 발표한 새 규정을 준수하기 위해서는 연간 1천만∼1천900만 달러의 비용이 들 것으로 예상된다.
바닷가재 업계는 최근 몇 년간 어획량이 늘고, 가격이 강세를 보이면서 성공을 거두고 있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으로 수산물 소비가 타격을 입으면서 경제적 타격을 입기도 했다.
새로운 규정으로 인해 10월부터 1월까지 주요 바닷가재 조업 지역인 메인 만의 1천528㎢에 달하는 해역에서 바닷가재 조업이 금지된다.
미국 바닷가재 어업의 중심지인 메인주(州)의 바닷가재인협회는 성명을 통해 정부가 바닷가재 어업에 부당한 부담을 주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패트리스 맥캐런 메인주 바닷가재인협회 상임이사는 "새 규정은 우리에게 경제적인 영향을 미치는 첫 단계일 뿐이고, 이번에 발표된 규정 이상의 향후 규제들이 메인주의 상징인 바닷가재 어업을 파괴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메인주 어업 유산 보호 재단 크리스털 캐니 상임이사도 "이번 결정이 고래를 살리는 대신 많은 바닷가재 어업인의 생계뿐만 아니라 그들의 생명까지 위험에 빠뜨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환경보호단체들은 새로운 규정만으로는 고래를 보호하기 충분하지 않다며 관련 규정을 더 강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환경단체 오세아니아의 수석 캠페인 책임자 깁 브로건은 "고래들이 덫에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더 많은 조치가 있다면 새 규정은 더 나아질 것"이라며 "우리는 약한 밧줄 이론에만 의존할 수 없다"고 말했다.
북대서양참고래는 미국 동해안에 많이 서식했지만, 상업적인 포경 시대에 사냥으로 멸종 위기에 처했다. 1970년부터는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돼 보호를 받고 있다.
china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