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매체, FT 인용 보도…"1979년 미국-대만 단교 후 가장 상징적 사건"
![](https://img.wowtv.co.kr/YH/2021-09-12/AKR20210912016000074_02_i.jpg)
(홍콩=연합뉴스) 윤고은 특파원 = 미중 갈등의 핵심사안 중 하나가 대만인 가운데, 미국이 워싱턴 주재 대만 대표부의 명칭에 '대만'을 명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이 7개월 만에 전화 통화를 통해 갈등 관리에 나섰지만, 대만을 둘러싼 이견은 좁혀지기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12일 연합보 등 대만 언론은 전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의 보도를 인용, 미국이 대만의 요청에 따라 워싱턴 주재 대만 대표부의 명칭을 '타이베이(Taipei) 경제문화대표처'(TECRO)에서 '대만(Taiwan) 대표처'로 바꾸는 안을 진지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일제히 보도했다.
FT는 커트 캠벨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인도태평양조정관이 이 안을 밀고 있으며, 명칭 변경을 위해서는 바이든 대통령이 행정명령에 서명해야한다고 다수의 관계자를 인용해 전했다.
신문은 이 사안에 대해 미국과 대만 정부는 입장을 밝히지 않았으나 미국 주재 중국 대사관은 "단호히 반대한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중국 대사관 대변인은 FT에 "미중 관계나 양안(兩岸·중국과 대만)의 평화와 안정을 심각하게 훼손하지 않기 위해서는 대만과의 어떠한 공식적 소통도 중단해야하며 대만 독립 세력에 잘못된 신호를 주거나 중국의 핵심에 도전하려는 시도를 삼가야한다"고 말했다.
미국은 1979년 중국과 수교 이후 '타이베이 경제문화대표처'를 대만의 대사관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연합보는 "명칭 변경이 성사될 경우 1979년 단교 이후 가장 상징적인 양국 관계의 진전"이라며 미중 갈등이 더 고조될 수밖에 없다고 전망했다.
연합보는 이어 FT를 인용, 두 정상의 통화 다음날인 10일(현지시간) 메릴랜드주 아나폴리스에서 미국과 대만 대표 간 '특별 채널'로 알려진 회담이 예정돼 있었으며, 이는 바이든 행정부 취임 후 미국과 대만 고위급 첫 대면 회담이라고 전했다.
다만 양측은 해당 회담에 관해 확인하지 않고 있다.
연합보는 "대만의 한 고위 관리는 대만이 타이베이경제문화대표처의 명칭 변경을 추진한 지 꽤 오래됐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중국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내세우며 국제사회에서 대만의 국명이나, 국기, 국가(國歌)의 사용을 막고 있다.
1971년 유엔에서 대만이 축출되고, 1979년 국제올림픽위원회(IOC) 회의에서 대만 국명을 '중화민국'(Republic of China)이나 대만(Taiwan)이 아닌 '차이니스 타이베이'(Chinese Taipei)로 표기하도록 하는 결의안이 통과된 이후부터 국제사회에서 '대만'이라는 명칭은 찾기 어려워졌다.
이런 가운데 지난 7월 유럽의 소국 리투아니아가 수도 빌뉴스에 유럽 국가 중 처음으로 '대만대표처'를 개설해 중국과 갈등을 빚어왔다.
중국은 리투아니아의 대만대표부 설치를 자국 영토에 대한 침해로 받아들이며 강력 반발했고, 리투아니아는 중국 주재 자국 대사를 소환하며 대립하고 있다.
여기에 이달 초 유럽의회 외교위원회는 대만을 지지하는 내용의 보고서 초안을 통과시켜 중국의 거센 반발을 불렀다.
보고서 초안은 EU의 대만 주재 대표부 역할을 하는 기관 명칭을 '타이베이 주재 EU 무역사무소'에서 '대만 주재 EU 사무소'로 변경하자는 등의 내용을 담았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1/09/12/AKR20210912016000074_03_i.jpg)
앞서 바이든 대통령과 시 주석은 지난 9일 전화통화를 하며 서로 넘지 말아야 할 '마지노선'이 어디까지인지를 논의했으나 대만 문제에서는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두 정상의 통화 이후 중국 측은 바이든 대통령이 '하나의 중국' 원칙을 변경할 뜻이 없다고 언급했다고 발표했으나, 미국 측은 바이든 대통령이 중국 측에 '하나의 중국' 원칙을 유지하겠다는 뜻을 전했다는 내용을 따로 공개하지 않았다.
prett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