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쿠바 등 美제재국 위주…일각서 '미국 압력설' 제기도
샤오미 "특정 시장 겨냥 아냐…밀수 가능성 조사"
(선양=연합뉴스) 차병섭 특파원 = 중국 휴대전화 제조업체 샤오미가 최근 북한 등 일부 국가에 밀수된 휴대전화의 사용을 막는 조치를 취했던 것으로 13일 전해졌다.
중국매체 관찰자망은 러시아 리아노보스티 통신을 인용, 샤오미가 공식 진출하지 않은 북한과 러시아 크리미아 지역을 비롯한 쿠바·이란·시리아·수단 등 6곳에 밀수된 스마트폰에 대한 관리통제 조치를 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휴대폰 잠금 조치는 이번 달 시작됐으며, 해당국가 사용자의 휴대전화 화면에 "회사 정책상 이 지역에서는 판매를 허용하지 않는다"는 문구가 떴다고 전했다.
리아노보스티는 샤오미가 과거에도 이들 지역에서의 판매를 금지했지만 직접적으로 휴대전화 기기 사용에 개입한 적이 없었다면서, 구체적인 설명 없이 미국의 확대 관할권과 관련 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또 미국 주재 쿠바 대사 호세 라몬 카바라스는 트위터를 통해 "미 국무부의 쿠바 정책에 조정상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쿠바에 무료 인터넷을 제안했다가, 다시 중국업체 샤오미에 쿠바 내 휴대전화를 잠그도록 압력을 가한다"고 말했다.
관찰자망은 소식통을 인용해 "샤오미의 이번 조치는 특정 국가나 지역을 겨냥한 것이 아니며, 정식 수입하지 않는 시장을 주요 대상으로 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밀수는 사용자의 정보보안과 이익을 침해하기 쉽다. 이번에 단기간 실시한 휴대전화 잠금·조사는 밀수 방지조치의 일부"라면서 이를 통해 단말기 고유식별번호(IMEI) 및 판매지역, 이동 궤적 등을 파악했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소식통은 "이미 잠갔던 기기를 풀었다"고 전했다.
관영매체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샤오미 대변인도 "(이번 조치가) 특정한 시장을 겨냥한 것은 아니다"면서 "(밀수 가능성 관련) 조사는 상당한 결과를 얻었고, 휴대전화는 이제 풀렸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북한 내부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18년께 700만~800만 대의 휴대전화가 있을 것이라는 추정이 나온 바 있다. 북한 당국은 최근 외부 정보 유입 차단 등 사회통제 차원에서 휴대전화 검열을 강화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bsch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