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 콘텐츠 확산 과제로 꼽혀…플랫폼 차원의 수익모델 개발 속도
(서울=연합뉴스) 채새롬 기자 = 유튜브, 페이스북, 틱톡 등 글로벌 소셜 플랫폼들이 크리에이터(창작자)에 대한 보상을 강화하며 크리에이터 확보 전쟁을 벌이고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유튜브는 올해 7월부터 크리에이터 후원 기능인 '슈퍼 땡스'를 베타 서비스하고 있다.
이 기능은 라이브 방송 중 시청자가 크리에이터에게 직접 현금을 후원할 수 있는 기능이다.
올해 5월에는 숏폼 영상인 '유튜브 쇼츠' 촉진을 위해 1억 달러 규모의 펀드를 조성한다고 발표하고, 2년간 인기 있는 콘텐츠를 제작한 크리에이터에게 매월 현금을 차등해 지급하기로 했다.
틱톡은 비슷한 후원 펀드를 작년 미국에서 2억 달러 규모로 시작했고, 이를 10억 달러 규모로 확대할 예정이다. 영국, 독일, 이탈리아 등 유럽에서도 비슷한 후원 펀드를 올해 시작했다.
페이스북 역시 내년까지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크리에이터에게 10억 달러를 지원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특히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의 크리에이트 펀드는 자체 숏폼 동영상 서비스인 릴스(Reels)를 제작하는 크리에이터를 위주로 운용되는데, 이는 숏폼 대표주자인 '틱톡'과의 경쟁에서 인기 크리에이터를 유치하기 위한 계획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트위터는 올해 5월 크리에이터에게 후원금을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출시했다.
글로벌 소셜 플랫폼들이 잇달아 크리에이터 유인책을 쏟아내는 것은 인기 크리에이터를 유치해 이용자의 플랫폼 이용 시간을 확대하기 위해서다.
플랫폼 이용자의 플랫폼 이용 시간은 곧바로 광고 수익으로 직결되기 때문이다. 최근 크리에이터가 구독자와 소통을 통해 팬덤을 형성하면서 크리에이터를 따라 구독자가 옮겨가는 현상이 관찰된다.
다만, 크리에이터의 영향력 확대에 따라 유해 콘텐츠의 확산이 빨라지고 있다는 점은 '크리에이터 이코노미(창작자 경제)'의 부작용으로 지적된다.
시장조사업체 스트라베이스는 최근 보고서에서 "유튜브에서도 구독자 확보를 위해 자극적으로 양산되는 가짜뉴스 등에 따른 피해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며 "이는 크리에이터 생태계 활성화와 함께 시급한 규제 수립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배경"이라고 분석했다.
업계에서는 '크리에이터 이코노미'가 광고에만 의존하던 기존의 수익 모델에서 나아가 시청자가 직접 크리에이터에게 후원하는 모델로 진화하고 있다며, 앞으로 플랫폼 차원의 수익 모델 개발이 과제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스트라베이스는 "크리에이터 이코노미가 진화를 거듭할수록 팬덤이 강한 크리에이터를 보유한 플랫폼의 힘이 더 커질지, 플랫폼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적인 수익원을 강화하는 크리에이터의 힘이 더 커질지가 관건"이라며 "NFT(대체불가토큰), 메타버스 등 새로운 기술과 플랫폼의 등장이 앞으로 생태계를 확장하는 중요한 동력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srcha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