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XO연구소 주요 5대 기업 임원 분석
(서울=연합뉴스) 김영신 기자 = 연말에 실시될 2022년 대기업 인사에서 1971년∼1975년생이 임원으로 다수 등용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1960년대생 임원은 물러나는 숫자가 많아지며 재계 세대교체가 더욱 가속화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24일 기업분석 전문 한국CXO연구소가 국내 주요 5대 그룹 중 핵심 계열사인 삼성전자[005930], 현대자동차[005380], SK하이닉스[000660], LG전자[066570], 포스코[005490]의 CEO급에 해당하는 임원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전체 임원 숫자는 2천70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2021년 인사에서 임원에 처음 오른 이는 330명(15.9%)이었다. 이들 중 94.5%가 남성으로, 신규 여성 임원은 5% 남짓에 그쳤다.
![](https://img.wowtv.co.kr/YH/2021-09-24/PCM20201229000146990_P2.jpg)
330명의 신규 임원을 연령대로 살펴보면 1971년생이 42명으로 최다였고, 1972년생이 40명으로 두번째로 많았다.
이어 70년생(33명), 69년생(29명), 74년생(27명), 68년생(23명), 73년생(22명) 순이었다.
전체적으로 보면 대학 졸업과 동시에 IMF 외환위기를 맞이하며 IMF학번으로 불리던 세대 중 1971년∼1975년생이 45.5%인 150명을 차지했다.
CXO연구소는 이러한 추세가 연말에 단행될 2022년 인사에서도 이어져 1971년∼1975년생 신규 임원이 170명을 넘길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지난해 인사에서 1965년∼1969년인 신규 임원 숫자는 94명으로 전체 중 30% 이하였다.
올해 상반기를 기준으로 국내 기업 중 임원 수가 가장 많은 곳은 삼성전자다. 미등기 임원이 1천명 이상이며, 이중 1년차 미만이 150여명이었다.
삼성전자 신임 임원 중 1972년생이 29명, 71년생이 24명, 74년생이 20명, 73년생이 16명, 75년생이 12명 등으로 이미 지난해 인사에서 신임 임원의 60% 이상을 1971년∼1975년이 차지했다.
CXO연구소는 "SK하이닉스와 LG전자도 삼성에 이어 2022년 인사에서 70년대생을 전면 배치하는 경향이 강하게 표출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http://img.yna.co.kr/photo/cms/2016/04/22/01/C0A8CA3C000001543B4F9C80000D6C27_P2.jpeg)
현대차는 1968∼1969년생을 임원으로 다수 발탁하면서도 1970년대 초반생도 대거 임원으로 등용할 것으로 전망됐다.
포스코는 상반기 기준 1970년대생 임원이 한 명도 없으며 발탁 임원 수가 상대적으로 적고 철강업종 특성상 연말 인사에서 1965년∼1968년생이 임원으로 다수 진출할 것으로 CXO연구소는 예상했다.
주요 5대 기업에서 지난해 임원을 그만두고 퇴직한 이들도 300명이었다. 1961년생이 40명으로 가장 많았고, 1961∼1965년생이 절반을 넘는 160명 이상이었다.
1970년대생 젊은 임원 중에서도 퇴직자가 40여명이었다. 일찍 임원이 되고 조기에 퇴진하는 이들도 많이 나오고 있다는 의미다.
shin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