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보경 기자 = 두산중공업[034020]이 국내 최대 규모 3D 프린팅 제조공장(팹)을 준공하며 관련 사업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두산중공업은 30일 오전 경남 창원 본사에서 3D 프린팅 전용 팹 준공식을 비대면으로 열었다.
두산중공업은 가스터빈 등 발전용 부품 선진화를 위해 2014년부터 3D 프린팅 기술을 적용해왔다.
두산중공업은 이번 준공으로 총 5기의 금속용 3D 프린터를 보유해 국내 최대 규모의 3D프린팅 전용 팹을 구축하게 됐다.
회사는 가로 800㎜·세로 400㎜·높이 500㎜ 크기 부품을 제작할 수 있는 세계 최대 PBF 방식(금속분말 등을 얇게 깔고 고출력 레이저나 전자빔으로 용융시키는 기술) 금속용 3D 프린터도 보유 중이다.
3D 프린팅은 금속, 세라믹, 플라스틱 등의 소재를 층층이 쌓으면서 레이저로 부품을 제조하는 기술로, 복잡한 설계 구현은 물론 부품 경량화, 제조단가 절감, 제작 기간 단축이 가능하다.
송용진 전략혁신부문장은 "두산중공업이 보유한 설계·소재·제조 기술을 바탕으로 국내에서 유일하게 금속 소재별 3D 프린팅 공정을 자체 개발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하게 됐다"며 "발전과 항공, 방위산업 등으로 기술 적용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준공식에는 허성무 창원시장과 국방기술품질원 허건영 원장,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이낙규 원장, 두산중공업 정연인 사장 등이 참석했다.
![](https://img.wowtv.co.kr/YH/2021-09-30/AKR20210930076500003_01_i.jpg)
viv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