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에 기가 팩토리 건설…플러그파워 기술력 활용해 단가 낮춰 공급
(서울=연합뉴스) 김영신 기자 = SK E&S는 미국 수소에너지 기업 플러그파워와 협력해 아시아 수소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한다고 6일 밝혔다.
양사는 이날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서 아시아 수소 사업 공동 추진을 목적으로 합작법인을 설립하는 주주 간 계약을 체결했다.
합작법인 지분은 SK E&S가 51%, 플러그파워가 49% 각각 보유한다.
합작법인은 2024년까지 수소 연료전지, 수전해 설비 등 수소사업 핵심 설비를 대량 생산하는 공장과 연구·개발 센터(Giga Factory&R&D Center)를 수도권에 건설한다.
플러그파워의 기술력을 활용해 공장에서 생산하는 수전해 설비와 연료전지의 단가를 크게 낮춰 국내와 아시아 시장에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https://img.wowtv.co.kr/YH/2021-10-06/PYH2021090112670001300_P2.jpg)
앞으로 생산될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PEMFC·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는 높은 에너지 효율과 간단한 구조로 내구성이 뛰어나며 저온에서 작동하는 장점이 있어 수소차와 발전소 등 다양한 분야로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또한 LNG, LPG를 연료로 사용하는 연료전지와는 달리 수소를 직접 주입하는 방식이라 전기, 열, 깨끗한 물만 생산되는 친환경 발전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플러그파워는 미국 내 수소 지게차 시장 점유율 95%를 차지하는 선도 기업으로, 합작법인은 이러한 검증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와 아시아 수소 연료전지 시장에 진출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물을 전기분해해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설비를 국내에서 생산함으로써 이를 활용한 그린수소 상용화에도 앞장설 계획이라고 SK E&S는 밝혔다.
플러그파워의 수전해 설비 기술(PEM방식)은 기존 알카라인 수전해 방식보다 수전해 과정에 투입되는 공급 전원 변동성의 영향을 덜 받아 신재생에너지가 가진 간헐성을 잘 보완한다는 장점이 있다.
합작법인은 향후 SK E&S가 생산하는 액화수소를 전국 100여개 충전소에 유통하는 역할도 담당한다. 플러그파워의 액화수소 충전소 운영·유통 노하우가 합작법인을 통해 국내 액화 수소 유통 시장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회사는 기대했다.
추형욱 SK E&S 사장은 "이번 합작법인 설립은 플러그파워가 보유한 수소 관련 핵심 기술을 기반으로 아시아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확보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수소 생태계 구축에 큰 경쟁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shin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