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반도체·폰·디스플레이 '호실적'…매출 70조원 첫 돌파
LG도 분기 최대 매출 전망…4분기는 업황 둔화·수요 감소 우려
(서울=연합뉴스) 김영신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수혜 효과로 호실적을 이어온 최근 삼성전자[005930]와 LG전자[066570]가 올해 3분기에 나란히 '실적 정점'을 찍는 모습이다.
삼성전자는 8일 공개한 잠정실적에서 3분기 최대 매출을 기록했고, LG전자도 역대 최고 분기 매출 기록을 경신할 전망이다.
다만 코로나19 효과가 4분기부터는 다소 사그라지면서 전자업계의 실적도 주춤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 삼성·LG전자, 3분기 매출 역대 최대 전망…환율도 매출에 일부 긍정적 영향
삼성전자의 3분기 잠정 경영실적(연결 기준)에 따르면 매출은 73조원, 영업이익은 15조8천억원을 기록했다.
삼성전자의 분기 매출이 70조원을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영업이익도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성적이다.
핵심은 역시 반도체였다. 코로나19 이후 재택 근무·원격 수업 등으로 정보기술(IT) 관련 수요가 증가하며 3분기 D램 등 메모리 가격이 급등했다. 증권업계는 반도체에서만 9조원 후반대∼10조원의 영업이익을 올리면서 전체 실적을 이끈 것으로 보고 있다.
차량용 등 일부 시스템 반도체 공급 부족으로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가격이 3분기부터 인상되면서 시스템 반도체 부문도 상반기보다 선전했다.
환율 덕도 봤다. 원·달러 환율이 2분기 평균 1천120원대에서 3분기에 평균 1천150원대로 상승하면서 일부 이익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당초 갤럭시 노트 시리즈 단종으로 우려했던 스마트폰 사업은 소위 '대박'을 치며 반도체가 이끈 호실적을 떠받쳤다.
하반기 출시된 폴더블 스마트폰 'Z폴드', 'Z플립'이 100만대 이상 팔리는 깜짝 흥행으로 글로벌 스마트폰 1위 기업으로서의 자존심을 지켰다.
스마트폰, 노트북 등 중소형 OLED 판매 증가로 디스플레이 부문(삼성디스플레이)도 선전했다.
오는 12일 잠정 실적을 발표하는 LG전자도 3분기 실적은 양호할 것으로 관측된다. 증권가에 따르면 LG전자의 3분기 매출은 18조원 정도로, 분기 사상 최대 실적이 예상된다.
영업이익도 1조1천억원 수준으로 견조할 전망이다.
LG전자는 지난 7월 장기 적자를 기록하던 스마트폰 사업을 정리하면서 수익 개선 효과를 보고 있다. 미국 월풀을 누르고 상반기 글로벌 1위 자리에 오른 생활가전(H&A)도 3분기까지 호실적이 이어졌다.
생활가전은 3분기 매출 6조원 중후반대, 영업이익은 5천억원 후반대를 기록하면서 연간으로도 세계 1위 자리를 지킬 가능성이 크다.
TV 부문은 올레드(OLED) TV 판매 호조에 힘입어 3분기 매출이 4조3천600억원으로 연중 최대치일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다만 LG전자는 제네럴모터스(GM) 전기차 볼트 리콜 관련 충당금 분담 문제가 복병으로 남아 있다. 현재 GM과 LG에너지솔루션이 리콜 비용 분담금을 논의 중인데 이번 분기에 충당금을 반영하면 영업이익 감소가 불가피하다.
◇ 코로나19 특수 감소에 공급망 불안까지…4분기 실적은 주춤할 듯
시장에서는 삼성전자와 LG전자의 실적이 3분기에 최고점을 찍은 뒤 4분기부터 한풀 꺾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코로나19 효과로 호황 국면이었던 반도체는 전 세계적으로 수급 차질 이슈가 이어지고 있는 데다 4분기부터는 D램과 낸드 가격이 하락할 것이라는 예상이 많은 상황이다.
현재 글로벌 시장을 짓누르고 있는 반도체 공급 부족과 글로벌 공급망 불안이 장기화할 경우 스마트폰·TV·가전 등 세트 상품 생산 차질로 이어지고, 반도체 수요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김양재 KTB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는 4분기에 실적 기여도가 가장 큰 메모리 반도체 업황 둔화로 영업이익 감소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증권가는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내년 2분기까지 일시적으로 하락할 수 있다고 본다. 다만 반도체 수요가 견고한 만큼 조정을 받더라도 하락 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스마트폰과 가전·TV 사업은 코로나19 '집콕'·'펜트업(pent up·억눌린) 특수 감소와 연말 마케팅 비용 증가로 인해 매출에 비해 수익이 떨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에 따라 삼성과 LG전자는 프리미엄 제품을 중심으로 신제품을 확대하며 신규 수요 확보에 나설 계획이다.
shin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