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산업부·일자리위 공동 개최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지역경제 살리기와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추진하는 '산업단지 대개조 사업' 시행 2년을 맞아 그간의 성과를 공유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행사가 열린다.
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는 15일 오후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2021 산업단지 대개조 콘퍼런스'를 개최한다고 14일 밝혔다.
정부는 2019년 11월 일자리위원회에서 발표한 '산업단지 대개조 계획'의 후속 조치로 산단 대개조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https://img.wowtv.co.kr/YH/2021-10-14/PCM20210929000162990_P2.jpg)
광역지자체가 지역 내 거점이 되는 노후 산업단지 등에 대해 혁신계획을 세우면 정부가 심사를 통해 대상 산단을 선정하고 3년 동안 관계부처 예산을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방식이다.
지난해 5월 사업대상으로 경북, 광주, 대구, 인천, 전남 등 5곳이 처음 선정됐으며, 올해 3월에도 경기, 경남, 부산, 울산, 전북 등 5곳이 추가로 선정됐다. 정부는 내년에도 비슷한 규모로 지원 대상을 선정할 계획이다.
이번 콘퍼런스는 사업 추진 이후 처음 열리는 행사다. 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 민간이 한자리에 모여 사업추진 성과를 점검하고 전문가 토론 등을 통해 발전 방향을 모색한다.
우수사례 발표에서는 작년에 선정된 5개 산단의 혁신 계획 및 혁신 사례가 소개된다.
정부는 이들 5개 산단을 지원하기 위해 올해도 2천562억원의 예산을 확보했다.
해당 지자체들은 산단 혁신계획을 통해 3년간 신규고용 1만5천472명, 지원시설 178곳 구축, 기업지원 883건 등의 성과가 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상황을 고려해 유튜브 채널 '아하TV'로 생중계된다.
김흥진 국토부 국토도시실장은 "1969년 울산공업지구를 지정한 이후 현재 1천200개가 넘는 산단이 전국 제조업 생산의 60% 이상을 담당하고 있지만, 노후화 추세가 뚜렷하다"면서 "이 사업을 통해 산업단지가 활력을 되찾고 경쟁력을 회복해 지역경제의 심장으로 다시 뛰도록 중앙과 지방의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dk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