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 소비심리 지수 발표
서울 148.9→142.8…수도권 148.4→142.7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의 부동산 매매시장 소비 심리가 한풀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의 집값 급등에 따른 피로감에 더해 금리 인상과 대출 규제 강화 등 금융당국의 '돈줄 죄기' 영향으로 주택을 사려는 심리가 다소 위축된 것으로 풀이된다.
18일 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연구센터가 발표한 9월 부동산시장 소비자 심리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매매시장 심리지수는 142.8을 기록해 전달의 148.9보다 6.1포인트 떨어졌다.
![](https://img.wowtv.co.kr/YH/2021-10-18/PCM20211018000008990_P2.jpg)
같은 기간 경기는 146.8에서 141.8로 5.0포인트 하락했고, 인천은 153.9에서 146.4로 7.5포인트 내렸다.
이로써 9월 수도권 전체의 주택 매매시장 심리지수는 142.7을 기록해 전달 148.4에서 5.7포인트 하락했다.
국토연구원 관계자는 "서울은 그동안 집값이 가파르게 상승한 데 따른 피로감이 반영된 데다 금리 인상 이슈와 가계부채 관리 이슈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면서 "다만 아직 지수 자체가 높은 수준이어서 앞으로 수치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소비자 심리지수는 전국 152개 시·군·구 6천680가구와 중개업소 2천338곳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산출한 것으로, 0∼200 범위의 값으로 표현된다. 심리지수 95 미만은 하강국면, 95 이상∼115 미만은 보합국면, 115 이상은 상승 국면으로 각각 분류된다.
지방의 경우 8월 134.2에서 9월 135.8로 1.6포인트 올랐다.
강원(150.1→157.2)과 충남(144.6→154.6), 제주(129.3→144.9), 경남(142.9→144.8) 등은 올랐고, 세종(104.1→101.9), 울산(134.9→130.9), 대구(112.5→111.5), 부산(137.5→134.9) 등 4곳은 내렸다.
지난달 전국 주택 전세시장 소비심리도 비슷한 분위기다.
수도권은 121.9에서 120.9로 내렸다. 인천(121.1→121.8)은 소폭 올랐으나 서울(122.9→121.4)과 경기(121.6→120.5)가 하락했다.
지방 전체적으로는 116.4에서 117.5로 1.1포인트 올랐다.
dk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