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민·노동조합 등, 보수우파 정권 경제정책에 반발
![](https://img.wowtv.co.kr/YH/2021-10-28/PAF20211027099201009_P2.jpg)
(멕시코시티=연합뉴스) 고미혜 특파원 = 남미 에콰도르에서 유가 인상에 항의하는 전국 규모의 시위가 원주민들을 중심으로 이틀째 이어지고 있다.
시위를 주도한 에콰도르토착인연맹(CONAIE)은 26일(현지시간)에 이어 27일에도 시위를 계속하겠다고 예고했다. 연맹은 전날 시위 체포자들도 즉시 석방하라고 정부에 촉구했다.
원주민과 노동조합 등이 주축이 된 전날 시위는 수도 키토와 과야킬, 쿠엥카 등 에콰도르 곳곳에서 벌어졌다.
대체로 평화 행진이었지만 키토 대통령궁 주변에서 한때 경찰과 시위대가 충돌했다고 EFE·로이터통신 등은 전했다.
또 원주민들이 주요 도로를 나무와 흙 등으로 봉쇄하기도 했다.
충돌 과정에서 경찰 5명이 다쳤으며, 통행을 방해한 혐의 등으로 37명이 체포됐다.
![](http://img.yna.co.kr/photo/etc/af/2021/10/27/PAF20211027143401009_P2.jpg)
이번 시위를 촉발한 것은 유가 인상이었다.
에콰도르에선 이전 정권 시절이던 지난해 5월부터 월 단위로 유가를 올려왔다.
지속적인 유가 인상에 민심이 악화하며 원주민 단체가 시위를 예고하자 기예르모 라소 대통령은 지난 22일 월별 인상 정책을 폐기하고, 유가를 고정하겠다고 발표했다.
정부가 발표한 고정 가격은 휘발유 갤런(3.785ℓ)당 2.55달러, 경유 1.9달러로, 경유의 경우 지난해 1달러에서 두 배 가까이 오른 것이라고 AFP통신은 설명했다.
원주민 단체 등은 정부가 말로는 유가를 고정하는 척 또다시 인상한 것이라며 예정대로 시위를 강행했다. 시위대는 휘발유 갤런당 2달러, 경유는 1.5달러로 고정하라고 주장하고 있다.
전날 시위에선 보수우파 라소 정권의 전반적인 경제 정책이나 최근 국제 탐사보도 프로젝트로 폭로된 라소 대통령의 세금 회피 의혹 등에 대한 불만도 나왔다.
에콰도르에선 지난 2019년에도 정부의 유류 보조금 폐지 방침에 반발한 격렬한 시위가 열흘 넘게 이어지며 극심한 혼란이 나타난 바 있다. 결국 정부가 백기를 들고 유류 보조금을 유지하기로 하면서 시위가 끝났다.
당시 시위도 원주민이 주축이 됐는데, 에콰도르에선 원주민들의 거센 시위가 1990∼2000년대 대통령 3명의 퇴진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mihy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