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신내역 지구 주민간담회…"시세의 50% 수준으로 주민에게 공급"
![](https://img.wowtv.co.kr/YH/2021-10-29/PCM20211029000180990_P2.jpg)
(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은 29일 서울 은평구 불광동에 있는 연신내역 역세권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예정지구를 찾아 "사업이 신속히 추진되도록 각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노 장관은 이날 연신내역 역세권 사업 예정지구 주민을 대상으로 진행한 간담회에 참석해 "연신내역 지구가 관련법 시행 후 40일 만에 예정지구까지 지정될 수 있었던 것은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성원 덕분"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정부에서는 이 사업이 평생소원인 분들의 숙원을 풀어드리겠다는 마음으로 사업을 신속히 추진하겠다"면서 "다른 선도구역 후보지 사업도 조기에 성공시켜 새로운 공급모델이 되도록 확산시키겠다"고 강조했다.
![](http://img.yna.co.kr/photo/yna/YH/2021/10/29/PYH2021102910850001300_P2.jpg)
연신내역 예정지구는 지난 3월 31일 정부가 '2·4 대책'의 핵심 주택공급 사업으로 추진하는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의 후보지로 선정된 곳이다.
도심복합사업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공기관이 주도해 역세권과 저층 주거지, 준공업지역 등 도심 내 노후 지역을 고밀 개발해 신축 주택을 공급하는 사업이다.
공공 개발에 따라 각종 인허가 기간이 단축되고, 종 상향·용적률 상향 등 인센티브가 부여돼 사업추진이 빠르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1/10/29/AKR20211029064300003_03_i.jpg)
국토부는 전날 후보지 가운데 증산4구역을 처음 사업예정지구로 지정한 데 이어 이날 연신내역 지구를 비롯해 쌍문역동측·방학역 등 3곳을 예정지구로 추가 지정했다.
연신내역 예정지구는 연신내역 인근 8천160㎡를 종 상향 및 용적률 인상을 통해 주거산업복합거점으로 개발되게 된다.
이 지역은 지하철 3·6호선에 인접한 저층 상가·주택지역으로 고밀개발이 필요하지만, 기존의 도시계획을 적용하면 사업성이 낮아 자력 개발이 어렵다.
특히 구파발역을 기점으로 추진된 은평뉴타운 등 각종 정비사업에도 포함되지 않아 노후화가 지속되면서 20년 이상 노후건축물 비율이 77.5%에 달한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1/10/29/AKR20211029064300003_01_i.jpg)
연신내역 예정지구는 관련법 시행 이후 다시 주민동의서를 받은 결과 78% 넘는 주민이 다시 사업 추진에 동의하는 주민들의 의지가 강하다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이 지구의 예상 평균 분담금은 1억2천700만원 수준으로 추산됐다. 이는 민간 개발을 추진했을 때(2억5천100만원)보다 1억원 이상 낮은 수준이다.
일반에 공급하는 주택의 분양가는 분양가상한제를 적용해 시세의 약 60%로 공급될 예정이다. 기존 주민들에게는 시세의 약 50% 수준에 공급한다.
현 시세를 고려하면 전용면적 84㎡ 기준 일반분양가는 약 7억5천만원, 주민 분양가는 약 6억3천만원이 될 전망이다.
노 장관은 연신내역 예정지구가 주민동의 등 절차를 거쳐 연내 본 지구 지정 절차를 마치고, 인허가 등 통합심의를 통해 사업이 신속히 추진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1/10/29/AKR20211029064300003_02_i.jpg)
dk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