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계약, 내달부터 공급 시작"…'러 가스 무기화' 비판도
(모스크바=연합뉴스) 유철종 특파원 = 러시아와의 가스 도입 협상 난항으로 심각한 에너지 위기를 겪던 동유럽의 옛소련 국가 몰도바가 협상 타결로 일단 위기에서 벗어나게 됐다.
타스 통신 등에 따르면 러시아 국영 가스 기업 '가스프롬'과 몰도바 가스 회사 '몰도바가스'는 29일(현지시간) 러시아 천연가스의 몰도바 공급에 관한 장기 계약을 체결했다.
![](https://img.wowtv.co.kr/YH/2021-10-30/AKR20211030049400080_02_i.jpg)
양측은 이날 러시아 제2도시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협상을 벌인 뒤 가스 가격 산정 방식과 몰도바 측이 지난 몇 년간 진 약 7억 달러의 가스 부채 상환 조건 등에 합의하고 새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은 5년 기간으로 체결됐으며, 다음 달 1일부터 새 계약에 따른 가스공급이 시작된다.
가스 공급가는 분기마다 이전 9개월간의 유가와 가스 가격을 고려해 책정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러시아와 몰도바 간 기존 장기 가스공급 계약은 지난 9월 30일 종료됐다.
이후 양측이 계약 연장 조건에 합의하지 못하면서 협상이 난항을 겪었다.
그 와중에 일단 급하게 10월 한 달 동안의 단기계약이 체결되긴 했지만, 지난해 큐빅미터(㎥)당 평균 140달러 수준이던 가스 가격은 790달러까지 치솟았다.
몰도바 측은 ㎥당 200~300달러 정도로 장기 계약을 체결하자고 제안했으나, 러시아 측은 수용할 수 없는 낮은 가격이라며 버텼다.
러시아 측은 또 새 계약을 체결하려면 지난 몇 년 동안 누적된 몰도바의 체불 가스 대금 약 7억 달러도 지급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협상이 난항을 겪는 와중에 몰도바에선 주택 난방이 끊기고, 기업으로의 가스 공급이 차질을 빚는 등 심각한 에너지난이 벌어졌다. 정부는 가스 부족 위기로 국가비상사태까지 선포했다.
일각에선 러시아가 친서방 노선을 걷는 몰도바 정부에 압박을 가하기 위해 가스를 무기로 이용하고 있다는 비난도 나왔다.
유럽연합(EU) 외교정책을 총괄하는 호세프 보렐 외교·안보 정책 고위대표는 지난 28일 러시아가 더 낮은 가스 가격을 미끼로 몰도바에 정치적 압력을 가하려 시도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옛 소련에 속했던 동유럽 소국 몰도바에서는 지난해 11월 대선에서 친서방 성향의 마이야 산두가 친러시아 성향의 이고리 도돈 당시 대통령에 승리하면서 집권했고, 지난 8월엔 역시 친서방 내각이 구성됐다.
새 정부는 이전 도돈 정권의 친러시아 정책에서 선회해 유럽연합(EU)과의 관계 강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1/10/30/AKR20211030049400080_01_i.jpg)
cjyou@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