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청년층 비정규직 243만명…1년전보다 12만5천명 증가
![](https://img.wowtv.co.kr/YH/2021-11-01/PCM20181224000113990_P2.jpg)
(세종=연합뉴스) 곽민서 기자 = 대졸 이상 비정규직 근로자가 280만명을 넘어 역대 최다치를 기록했다.
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대졸 이상 비정규직 근로자는 284만1천명으로 1년 전보다 32만명(12.7%) 늘었다.
대졸 이상 비정규직은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3년 이래 가장 많았고, 통계 작성 기준이 바뀐 2019년 이후와 비교해도 역대 최다치를 기록했다.
전체 비정규직 근로자(806만6천명) 가운데 대졸 이상 비정규직이 차지하는 비중도 35.2%로 작년 동월(33.9%)보다 1.3%포인트 상승했다. 역시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다.
다만 통계청은 2019년부터 기존에 포착되지 않던 기간제 근로자가 추가로 반영됐기 때문에 2018년 이전과 2019년 이후 통계를 비교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성별로 보면 대졸 이상 비정규직 가운데 여성이 161만2천명(56.7%)으로 남성(122만9천명·43.3%)보다 많았다.
근로 형태별로는 한시적 근로자가 202만2천명(71.2%)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한시적 근로자는 근로계약 기간이 정해져 있는 기간제 근로자와 비자발적 사유로 계속 근무를 기대할 수 없는 비기간제 근로자를 포함한다.
이외 1주일에 36시간 미만 일하는 시간제 근로자가 100만5천명(35.4%), 파견·용역·일일 근로자와 특수형태근로종사자를 포함하는 비전형 근로자가 55만7천명(19.6%)이었다.
대졸 이상 고학력자 가운데에도 상대적으로 안정성이 낮은 기간제·시간제 근로자 등이 점점 더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창 일할 나이인 2030 청년층 비정규직도 늘었다. 올해 8월 기준으로 20대 비정규직은 141만4천명, 30대 비정규직은 101만6천명으로 각각 집계됐다.
20~30대 비정규직은 총 243만명(30.1%)으로 1년 전보다 12만5천명 증가했다. 전체 비정규직 10명 중 3명은 2030이었던 셈이다.
이외 60세 이상(29.8%), 50대(20.7%), 40대(17.6%) 등 순이었다.
![](http://img.yna.co.kr/etc/graphic/YH/2021/11/01/GYH2021110100010004400_P2.jpg)
[표] 대졸 이상 비정규직 취업자(단위: 천명)
┌───────┬───────┬───────┬──────┬──────┐
│ 시점 │ * 비정규직 │ - 한시적 │ - 시간제 │ - 비전형 │
│ ├───────┼───────┼──────┼──────┤
│ │ 계 │ 계 │ 계 │ 계 │
├───────┼───────┼───────┼──────┼──────┤
│ 2021.08│2,841 │2,022 │ 1,005│557 │
├───────┼───────┼───────┼──────┼──────┤
│ 2020.08│2,521 │1,739 │884 │482 │
└───────┴───────┴───────┴──────┴──────┘
(자료=국가통계포털)
mskwa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