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105개국 "2030년까지 산림파괴 중단"…메탄 30% 감축(종합2보)

입력 2021-11-03 00:23   수정 2021-11-03 07:11

전세계 105개국 "2030년까지 산림파괴 중단"…메탄 30% 감축(종합2보)
'산림 토지 이용 선언' 105개 국가 서명…22조3천억원 규모 기금 조성
'국제메탄서약' 발효 선언도…주요 배출국 중국·러시아·인도는 불참


(서울=연합뉴스) 윤종석 기자 =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 참가국들이 2030년까지 산림 파괴를 멈추고 토양 회복에 나서기로 합의했다.
또 같은 기한까지 메탄 배출량도 30% 감축하기로 뜻을 모았다.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COP26 참가한 105개국은 1일(현지시간) '산림·토지 이용 선언'(Declaration on Forest and Land Use)을 발표했다.
한국이 포함된 선언 참가국에는 전 세계 산림의 85%를 차지하는 브라질과 인도네시아, 콩고민주공화국도 이름을 올렸다.
미국, 중국, 러시아, 일본 등 주요 국가 대부분도 동참했다.
의장국인 영국의 총리실은 "이번 선언은 3천360만㎢에 달하는 산림을 대상으로 한다"라고 설명했다. 이 넓이는 한국의 약 336배에 해당한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이번 선언이 유례없는 합의라고 평가하고 "이제 우리는 자연의 정복자로서 긴 역사를 끝내고 보호자가 될 기회를 맞았다"라고 말했다.
이에 맞춰 여러 참가국과 기업이 선언에 담긴 목표를 이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발표했다.
계획에는 원주민이 동참하는 산림 보호 프로젝트와 지속가능한 농업 기술 개발 등이 포함됐다.
이번 선언에 따라 영국을 비롯한 12개국은 내년부터 2025년까지 120억 달러(약 14조1천억원)의 공공기금을 조성해 개발도상국의 토양 회복과 산불 진화 등에 지원할 예정이다.
아비바와 악사 등 민간 투자사 30여 곳은 산림 보호에 72억3천만 달러(약 8조5천억원)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다.
투자사들은 2025년까지 산림 파괴와 관련된 영역에는 투자하지 않기로 했다.

유럽연합(EU)은 2일 향후 5년에 걸쳐 삼림 보호를 위해 EU 예산에서 10억 유로(약 1조3천650억 원)를 쓰겠다고 약속했다고 로이터 통신은 전했다.
이 가운데 2억5천만 유로(약 3천413억 원)는 아프리카 중서부 콩고 분지에 있는 국가들을 위해 사용할 예정이다.
일본의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총리는 아시아의 '순 배출 제로'를 위해 최대 100억 달러(약 11조7천억 원) 지원을 약속했다고 교도통신이 전했다.
30곳 이상의 금융기관들은 소 사육과 팜오일, 콩, 펄프 생산과 연관되는 산림파괴를 막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이들 기관이 운용하는 자금은 총 87조 달러(10경 2천조 원)에 달한다.
각국 정상들은 이날 2030년까지 전 세계에서 배출되는 메탄의 양을 2020년 대비 최소 30% 감축한다는 내용의 '국제 메탄서약' 출범도 선언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우리가 함께한다면 2030년까지 메탄 배출량을 30% 이상 줄일 수 있을 것"이라면서 이런 노력은 경제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로이터는 이 서약에 미국과 EU 등 전 세계 메탄 배출량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100여 개 국가가 서명했다고 전했다.
문재인 대통령도 국제메탄서약 가입을 천명했다.
세계 5대 메탄 배출국으로 꼽히는 브라질도 이 서약에 참여했다. 최대 배출국으로 꼽히는 중국·러시아·인도는 서명하지 않았다.
메탄가스는 천연가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성분으로,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온난화 지수가 이산화탄소의 약 80배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비영리 기구인 세계자원연구소(WRI)에 따르면 산림은 지구상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30%를 흡수한다. 이를 통해 산림은 대기의 배출 가스를 흡수해 지구 온난화를 막는다.
그러나 이런 자연 완충재 역할을 하는 산림은 빠른 속도로 없어지고 있다.
WRI에 따르면 지난해 지구에서 사라진 산림의 넓이는 영국보다 큰 25만8천㎢다.
이번 선언은 2014년 40여 개국이 발표한 뉴욕 선언의 연장선이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재원 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한발 더 나아간 것으로 평가된다.

banan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