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티오피아 인권위와 공동 보고서 "성폭행·민간인 학살 등 전쟁범죄 가능성"
![](https://img.wowtv.co.kr/YH/2021-11-03/AKR20211103172700099_01_i.jpg)
(요하네스버그=연합뉴스) 김성진 특파원 = 3일(현지시간)로 에티오피아 북부 티그라이 내전이 발발한 지 1주년이 된 가운데 유엔과 에티오피아 국가인권위원회가 보고서에서 내전의 모든 당사자가 전쟁범죄에 해당할 수 있는 잔학행위를 저질렀다고 지적했다.
로이터, AP통신 등에 따르면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와 에티오피아 국가인권위는 이날 발간한 공동 보고서에서 분쟁 당사자 모두가 민간인에 대한 자의적 구금과 살해, 집단 성폭행, 대량 추방 등 반인도 범죄에 해당할 수 있는 "극단적 잔악"을 보였다고 밝혔다.
지난해 11월 3일 아비 아머드 에티오피아 총리는 티그라이 집권 지역정당 티그라이 인민해방전선(TPLF) 측이 지역 내 연방군 막사를 공격했다면서 연방군을 '질서 회복 작전'에 투입했다.
이후 발발한 내전 와중에 민간인 수천 명이 사망하고 북부 지역에서 피란민 250만 명이 발생했다. 보고서는 TPLF 측이 티그라이 지역 대부분을 재장악한 올 6월 말까지 관련 조사를 수행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에티오피아 전역에서 티그라이 출신에 대한 임의 구금이 행해지고 티그라이 측은 연방군과 합세해 티그라이 서부를 침범한 인접 암하라 출신 지역민들을 구금하고 고문했다.
티그라이 악숨에서는 에티오피아 정부군을 지원하기 위해 들어온 이웃 나라 에리트레아 군인들이 민간인 100명을 학살했다. 에티오피아 정부군, 티그라이 민병대, 암하라 민병대 등도 모두 양민 학살 및 보복 학살에 연루됐다.
여성과 소녀는 물론이고 소년 등에 대한 집단 성폭행도 벌어졌다.
보고서는 티그라이 지역 등에 대한 구호품 전달을 가로막는 사실상 인도주의적 봉쇄가 고의로 행해지고, 내전 상대 지역민들을 겨냥해 기근을 전쟁수단으로 사용했는지는 독자적으로 확인할 수 없었다면서 추가 조사를 요구했다. 분쟁 당사자 모두가 구호 원조를 가로막은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티그라이에선 40만 명이 기근에 내몰렸다.
미첼 바첼레트 유엔 인권최고대표는 "극악무도한 잔학행위 당사자들을 사법 심판대에 세워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에티오피아는 성폭행 및 살해 혐의로 일부 군인을 재판하고 있다고 밝혔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1/11/03/AKR20211103172700099_02_i.jpg)
이번 보고서는 내전 과정에서 벌어진 모든 잔학행위를 조사한 것은 아니다.
보고서는 또 일부 교전 지역에는 안전 우려 때문에 조사가 이뤄지지 못했다고 밝혔다. 티그라이 측도 에티오피아 국가인권위가 이번 조사에 개입한 데 대해 반발하기도 했다.
유엔과 에티오피아 국가인권위는 100쪽 분량의 보고서 작성을 위해 희생자와 목격자 269명을 인터뷰했다.
전날 에티오피아 정부는 티그라이군이 수도 아디스아바바로 진격할 수 있다면서 국가 비상사태와 국민 동원령을 선포했다.
sungji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