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전엔 '2030년 400여개' 추정…"중, 대만 봉쇄부터 침략까지 모든 옵션 검토"
![](https://img.wowtv.co.kr/YH/2021-11-04/AKR20211104005400071_01_i.jpg)
(워싱턴=연합뉴스) 류지복 특파원 = 중국이 핵무기 보유량을 급속도로 확장해 2030년까지 핵탄두가 1천 개를 넘을 수 있다는 미국 국방부의 추정이 3일(현지시간) 나왔다.
AP 통신 등에 따르면 미 국방부는 의회에 제출한 '중국을 포함한 군사안보 전개상황'이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중국이 21세기 중반까지 미국의 국력에 필적하거나 이를 능가하기 위해 군사력 증강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중국의 핵탄두 보유 규모는 2027년까지 700개로 늘어나고 2030년에는 1천 개를 넘어설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현재 중국이 보유한 핵탄두 수는 밝히지 않았다.
이런 추세는 국방부가 1년 전 예상한 것보다 훨씬 더 빠른 속도라는 게 AP의 분석이다.
국방부는 1년 전 보고서를 낼 때 중국의 핵탄두가 200개 초반대라면서 2030년까지 이 수가 갑절인 약 400개로 늘어날 것이라고 밝혔다는 것이다.
미국의 핵탄두는 2003년까지만 해도 1만 개가량이었지만 그 수를 줄여 현재는 3천750개다.
보고서는 또 중국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발사할 수 있는 수백개의 지하 격납고가 포함된 최소 3곳의 미사일 기지 건설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로이터 통신은 중국이 2030년까지 핵탄두 1천개를 보유하더라도 미국보다 훨씬 적다면서도 1년 전 400개라고 본 미국의 추정에 큰 변화가 생긴 것이라고 말했다.
대럴 킴볼 군축협회 대표는 중국이 핵탄두를 대폭 늘릴지는 많은 부분 미국의 정책과 행동에 달려 있다면서 이런 상황은 핵위협 감소를 위한 양자 또는 다자 협상의 시급한 필요성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http://img.yna.co.kr/photo/cms/2021/10/07/93/PCM20211007000093990_P2.jpg)
국방부 보고서는 중국이 육해공에서 핵공격을 할 수 있는 3대 핵전력을 이미 지녔을지 모른다면서 중국이 육지와 바다에 이어 공중에서 핵무기를 발사할 수 있는 탄도미사일을 추가하고 있다고 적시했다.
마크 밀리 의장은 이날 애스펀안보포럼에서 중국의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과 다른 진전은 무엇이 세계를 위태롭게 하는지를 보여주는 증거라면서 "우리는 세계가 목격해온 것 가운데 지리전략적 힘의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를 보고 있다"고 말했다.
미 국방부는 중국의 군사력 증강과 대만에 대한 위협에도 경각심을 표시했다.
보고서는 "중국군의 진화하는 능력과 개념은 강력한 적과 싸워 이길 능력을 강화하는 것"이라면서 '강력한 적'은 미국을 완곡하게 표현한 것으로 해석했다.
또 이런 상황은 중국이 자국의 영토라고 주장하는 대만을 강압적으로 대할 수 있게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 당국자는 보고서와 관련한 언론 브리핑에서 중국이 대만에 대한 공동봉쇄에서부터 대규모의 수륙 양용 침략까지 모든 옵션을 검토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여기엔 공중과 미사일 공격은 물론 사이버 공격까지 포함될 수 있다.
또 중국이 대만 연안의 섬을 점령할 수도 있지만, 이 당국자는 어떤 것이 가장 가능성이 있는지 등에 대한 답변을 피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밀리 의장은 애스펀안보포럼에서 "어떤 일도 일어날 수 있다"면서도 대만에 대한 중국의 군사조치와 관련해 2년 내의 가까운 미래에 벌어질 것이라고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보고서는 중국이 미국의 군사작전을 방해하고 중국군의 작전을 지원할 수 있는 해외 기지 네트워크를 추구한다고 밝혔다.
또 군사의료조직에서 민간은 물론 군사적 용도를 지닌 강력한 독소 물질의 식별과 실험 등 논의를 행한 연구를 언급하며 중국이 국제생화학무기 관련 협정을 준수하는지 의문을 제기했다고 AP는 전했다.
jbryo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