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자료 요구·전기차 인센티브 관련 우려도 전달"
![](https://img.wowtv.co.kr/YH/2021-11-22/PYH2021111909780001300_P2.jpg)
(서울=연합뉴스) 윤보람 기자 =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22일 "한미 통상장관 회담에서 철강 232조 해결을 위한 조속한 협상 개시를 요구했다"고 말했다.
여 본부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한미 통상장관 회담 결과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여 본부장은 최근 방한한 캐서린 타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지난 19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제6차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공동위원회'를 계기로 통상장관 회담을 개최한 바 있다.
여 본부장은 "2017년 우리나라는 한미 FTA 개정협상과 함께 철강 232조 협상을 타결했고, 그 이후 지난 4년간 유럽연합(EU)과 일본이 철강에 대해 25%의 관세를 적용받은 것과는 달리 70%의 쿼터 내에서 무관세로 수출을 해왔다"고 언급했다.
이어 "하지만 최근 미국이 EU 및 일본과 협상을 타결하거나 개시한 만큼 EU 및 일본과 미국 시장 내에서 경쟁 관계에 있는 우방국인 우리나라에 대해서도 다시 협상을 개시해야 한다는 점을 강력히 전달했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 철강업계에서는 이 사안을 민감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파악되지만, 미국 내 한국산 고급 철강제품에 대한 수요가 높고 한국 제조업 기업들의 대미(對美) 투자가 급증하는 만큼 철강 232조 해결을 위한 조속한 협상 개시를 지속해서 요청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여 본부장은 최근 있었던 미국 정부의 반도체 공급망 자료 요구에 대해 한국 정부의 우려를 재차 전달하는 한편 추후 이런 조치가 없기를 바란다는 점도 강조했다고 전했다.
![](http://img.yna.co.kr/photo/yna/YH/2021/11/18/PYH2021111810850001300_P2.jpg)
그는 미국 의회의 전기차 인센티브 지원 법안이 외국 기업에 대한 차별 소지가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한미 통상장관은 회담 직후 공급망·신기술·디지털 등 새로운 통상 현안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강화된 협의 채널을 신설하는 내용을 담은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양측은 노동 및 환경 분야의 협력 진전을 위해 조속한 시일 내에 한미 FTA 노무협의회와 환경협의회를 개최하는 것에도 합의했다.
이와 관련해 여 본부장은 "한미 통상당국이 최근 세계 경제 회복의 복병인 공급망의 복원력과 안정성 회복, 디지털 경제, 탄소 감축 및 기후변화 대응 등을 위한 통상협력을 강화해 글로벌 도전에 함께 대응해나가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재 한미 FTA 산하 다양한 위원회가 상품무역 등 전통적 이슈를 논의하는 구조인 만큼 이러한 신통상 의제 논의를 위해 통상교섭본부와 USTR 간 강화된 협의 채널을 통해 새롭게 접근하기로 합의했다"고 덧붙였다.
한미 통상장관 회담에서는 미국 정부의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와 관련한 개략적인 논의도 있었다고 여 본부장은 소개했다.
그는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이 지난달 27일 동아시아정상회의(EAS)에서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 구상을 발표한 것을 시작으로 타이 대표와 지나 러몬도 미 상무장관이 일본, 싱가포르를 방문해 이 프레임워크를 통해 인도-태평양 지역의 다양한 영역에서 새로운 파트너십을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고 전했다.
이어 "해당 프레임워크는 아직 구상단계에 있는 것으로, 향후 지속해서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bryoo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