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은 와이파이·GPS 응답률 원인…개선된 새 시스템, 일선 아직 도입 안해
(서울=연합뉴스) 조성흠 이정현 기자 = 최근 서울 중구에서 경찰의 신변보호를 받던 여성은 범인과 다시 맞닥뜨린 순간 다급하게 스마트워치의 신고 버튼을 2회 눌렀지만 참변을 피하지 못했다.
23일 연합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이번 사건은 스마트워치가 제대로 신호를 보냈지만 연동된 112신고시스템이 위치값을 제대로 잡지 못하면서 발생했다.
경찰은 통신사를 통해 피해자의 스마트워치뿐만 아니라 휴대전화로도 위치를 추적했지만 마찬가지로 정확한 조회에 실패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스마트워치에 회선을 제공한 통신사 관계자는 "해당 시스템은 대기업 참여 제한업종이어서 중소기업들이 입찰해 구축한 것으로, 회선만 우리 것을 가져다 쓴 것"이라고 설명했다.
택시조차 애플리케이션(앱)으로 호출하면 내가 서 있는 자리에 와주는 시대이지만, 아직 모든 전자기기의 와이파이와 위성(GPS) 측정 방식은 지하나 일부 건물에서는 통하지 않는다. 스마트워치도 예외는 아니어서, 이번에도 기지국 측정만 가능했고 결과적으로 큰 오차가 발생했다.
물론, 경찰이 신변보호 대상자에게 주는 스마트워치 보안서약서와 112시스템 등록 동의서에는 위치값에 오차범위가 있을 수 있다는 내용이 고지된다.
건물 내부에서는 위성(GPS) 방식이 잘 잡히지 않으니 가급적 외부에서 사용해달라는 문구도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신변보호 대상자는 스마트워치를 제공받을 때 작동법 위주로 안내 내용을 이해하기 마련이다. 위치값에 오차가 있을 수 있다는 부분을 경찰이 강조해주지 않는 이상 충분히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기존 112신고시스템은 위치 확인까지 최대 45초가 걸리는데, 응답률은 기지국 94%, 와이파이 35%, 위성(GPS) 37%에 불과하다.
이마저도 기지국을 통해 1차로 위치값을 확인할 경우 응답률이 높은 대신 위치 파악의 정확도가 낮다.
와이파이나 위성(GPS)을 통해 2차로 확인하는 위치값은 응답 실패율이 높아 지구대나 파출소에서 1차 위치값으로 출동할 경우 정확한 위치를 찾지 못한 채 피해자 수색에 어려움을 겪는 문제가 늘 있었다.
이미 2017년에도 경찰은 스마트워치 위치값 오류 가능성을 피해자에게 충분히 설명하지 않아 국민권익위원회로부터 지적을 받았다.
이에 경찰은 최근 문제점을 보완한 '신변보호 위치확인 시스템'을 개발했다.
기존에 사용하던 스마트워치 앱의 자체 위치 측위 방식을 112신고시스템에 적용해 3초 안에 신고자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대상자가 스마트워치로 신고하면 즉시 기지국·와이파이·위성(GPS)으로 동시에 위치를 확인해 가장 먼저 잡힌 위치값으로 출동 지령을 내리는 방식이다. 주로 와이파이가 가장 빨리 잡혀 오차범위가 최대 50m로 줄었고 응답률도 99%로 개선됐다.
이 시스템을 개발한 부서에서는 현장에 시스템이 하루빨리 적용될 수 있도록 협조 요청 등을 적극적으로 했으나 연말까지 시범운용 기간이었던 관계로 일선에는 적용되지 못했다.
이달에는 각 시도경찰청에 적용 중이었고 일선 경찰서에는 다음 달 초 적용될 예정이어서 중부경찰서 관할이었던 이번 피해자는 개선된 시스템의 도움을 받지 못했다.
김창룡 경찰청장도 전날 지휘부 회의에서 스마트워치 신고 시 위치측정 시스템을 개선해 시범 운용하던 중에 사건이 발생해 안타깝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josh@yna.co.kr, lis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