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담대 2.4조원↑ 3년9개월래 최소 증가폭…전세대출 2조원↑ 신용대출 0.5조원↑
한은 "대출규제, 금리인상, 주택거래 감소 영향…연말까지 둔화 흐름"
금융권 전체 5.9조원↑…2금융권 증가폭은 1조→2.9조원 '풍선효과'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하채림 김유아 기자 = 금융감독당국·은행의 각종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 등의 영향으로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 폭이 크게 줄었다.
하지만 은행권의 규제 등을 피해 대출 수요가 제2금융권으로 몰리는 '풍선 효과'도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11월 말 기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천60조9천억원으로 10월 말보다 3조원 증가했다.
증가액은 10월(5조2천억원)보다 2조원 이상 적고, 9월(6조4천억원)과 비교하면 절반 이하 수준이다. 지난 5월(-1.6조원)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적게 늘었다.
가계대출 증감을 종류별로 보면, 전세자금 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잔액 776조9천억원)이 한 달 사이 2조4천억원 불었다. 증가폭이 10월(4조7천억원)의 약 50%에 불과하고, 2018년 2월(1조8천억원) 이후 3년 9개월 내 월간 최소 기록이다.
늘어난 주택담보대출 2조4천억원 가운데 전세자금 대출은 2조원을 차지했다. 전세자금 대출 증가액도 9월(2조5천억원), 10월(2조2천억원)보다 소폭 줄었다.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의 경우 한 달 새 5천억원 늘었다. 증가폭이 10월(5천억원)과 비슷하지만, 9월(8천억원)보다는 적다.
박성진 한은 금융시장국 시장총괄팀 차장은 "일반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이 계절적 요인, 주택거래량 감소 등의 영향으로 줄었고, 집단대출의 증가폭도 중도금 대출 상환분이 있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추세와 관련해서는 "금융권의 가계대출 관리, 계절적 비수기, 대출금리 인상 등이 종합적으로 영향을 미쳐 대출 증가세가 둔화한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하지만 가계대출 증가세가 꺾인 것으로 판단하려면 이런 추세가 안정되는지 좀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한은은 12월에도 주택거래 등의 비수기, 가계대출 관리 노력 등이 이어지는 만큼 일단 연말까지는 현재의 가계대출 증가세 둔화 흐름이 유지될 것으로 전망했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의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은행과 제2금융권을 포함한 금융권 전체 가계 대출은 지난달 5조9천억원 늘었다. 증가폭이 10월보다 2천억원 줄었다.
대출 종류별로는 주택담보대출이 3조9천억원,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이 2조원 불었다. 주택담보대출 증가액은 10월(5조2천억원)보다 1조3천억원 줄었지만,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 증가 속도는 오히려 10월(9천억원)보다 빨라졌다. 금융당국은 지난달 말 신한서부티엔디리츠(청약증거금 3조원) 공모주 청약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했다.
제2금융권만 따로 보면, 지난달 가계대출은 2조9천억원 증가했다. 증가액이 거의 10월(1조원)의 3배로 불었고, 특히 새마을금고에서만 1조4천600억원이 뛰었다. 이런 급증 탓에 결국 지난달 말 새마을금고는 가계대출을 한시적으로 중단했다.
기업의 11월 말 기준 은행 원화대출 잔액은 1천68조4천억원으로 10월보다 9조1천억원 늘었다. 월 증가액이 10월(10조3천억원)보다 1조원이상 줄었지만, 11월 기준으로는 2009년 6월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대 증가 기록이다.
대기업 대출이 일부 기업의 지분투자 등을 위한 대규모 차입에 2조8천억원 증가했다.
중소기업 대출도 개인사업자 대출(2조7천억원)을 포함해 한 달 새 6조4천억원 불었다. 코로나19 금융지원, 시설자금 수요 등의 영향이라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대기업 대출은 통계 작성 이후 11월 기준으로 최대, 중소기업 대출은 지난해 11월(7조원) 이후 역대 두 번째로 많았다.
여신(대출)이 아닌 은행의 수신 잔액은 11월 말 현재 2천113조3천억원으로 10월 말보다 18조2천억원 늘었다.
수신 종류별로는 기업들의 결제성 자금 예치 등으로 수시입출식예금이 9조8천억원 불었고, 일부 은행의 법인자금 유치와 예금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정기예금도 4조원 증가했다.
자산운용사의 수신은 11월 한 달간 10조8천억원 줄었다.
특히 재정지출을 위한 국고자금 회수 등 때문에 머니마켓펀드(MMF)에서 13조6천억원이 빠져나갔다.
shk999@yna.co.kr, tree@yna.co.kr, ku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