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스스퀘어서 어린이 접종…권장 광고에 100달러 직불카드
대기줄 없고 학부모 동요 크지 않아…일부 반대시위에 요식업계 반발
![](https://img.wowtv.co.kr/YH/2021-12-10/AKR20211210064000072_07_i.jpg)
(뉴욕=연합뉴스) 강건택 특파원 = 9일(현지시간) 오후 미국 뉴욕시 지하철 W노선 열차에 오르자 어린이와 청소년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접종을 독려하는 광고가 사방에 펼쳐졌다.
객차 내 전체 광고 공간의 절반을 차지한 뉴욕시 광고들은 "소아과 전문의들은 5∼17세의 코로나19 백신을 권고합니다", "5∼11세 아이의 백신 용량은 어른의 3분의 1이어서 부작용이 가볍습니다"라는 문구가 적혀있었다.
지난주까지만 해도 찾아볼 수 없었던 이런 광고는 빌 더블라지오 뉴욕시장이 월요일인 지난 6일 어린이에게도 사실상 '백신패스'(접종증명) 제도를 시행하겠다고 전격 선언한 이후 등장했다.
초등학생 또는 유치원생에 불과한 5∼11세 어린이도 14일부터 백신을 맞지 않으면 식당, 공연장, 체육관에 입장할 수 없다는 이번 명령은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힘든 고강도 방역 조치다.
학교는 백신패스가 없어도 등교할 수 있지만 사설 체육학원은 체육관으로 분류돼 백신패스가 필요하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1/12/10/AKR20211210064000072_08_i.jpg)
49번가역에서 내려 코로나19 백신 접종소가 있는 타임스스퀘어로 향했다.
오후 4시부터 10여 분 사이 아이를 동반한 다섯 가족이 접종소로 향했다. 형제자매를 합치면 모두 7명이다.
더블라지오 시장의 명령 후 어린이 예약자가 증가했느냐는 물음에 접수 담당 직원은 "백신을 접종하러 오는 어린이가 많아졌다"면서 "1회만 접종해도 100달러 상당의 직불카드를 준다"고 안내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1/12/10/AKR20211210064000072_03_i.jpg)
이 직원은 마스크를 쓰고 알통을 자랑하는 자유의 여신상 그림과 함께 '난 뉴욕시 백신 챔피언'이라고 적힌 종이가방에 뉴욕시가 마련한 선물을 담아 어린이에게 나눠줬다.
티셔츠와 모자, 접종 배지, 손 세정제, 마스크, 위생장갑이 봉투 안에 담겼다.
바닥에는 '5∼11세 KIDZER'라는 안내문이 적혀 있었다. 어린이(kid)와 백신 제조사 화이자(Pfizer)를 합친 단어 같았다.
7세 쌍둥이 아들을 데리고 온 한 여성은 "오늘 2회차 접종을 했다. 1회차 접종 후에는 전혀 부작용이 없었다"라며 말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1/12/10/AKR20211210064000072_09_i.jpg)
주사를 무서워하는 어린이를 안심시키려는 실내 장식도 눈에 띄었다.
접종 데스크에는 만화 캐릭터 '미니언즈'가 그려진 탁상보를 깔고 접종 후 15분의 대기시간이 지루하지 않도록 놀이 매트와 작은 의자를 놨다.
10분간 7명이 차례로 주사를 맞은 뒤로는 발길이 뜸해졌다. 예약자는 물론 즉석 방문자에게도 백신을 놔주는 시설인데도 이날은 줄을 설 정도로 사람이 몰리지는 않았다.
시설의 한 직원은 "지난주에 아이들이 굉장히 많았다"고 말했다. 백신패스 때문에 특별히 접종하려는 어린이가 급증한 것까지는 아니라는 이야기다.
유치원생까지 접종 증명을 요구한다는 파격적인 조치에도 뉴욕의 학부모 사이에선 반대하거나 불만이 커지는 분위기는 아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1/12/10/AKR20211210064000072_05_i.jpg)
맨해튼 지역 엄마들의 지역별 페이스북 그룹에서는 자녀 접종에 대한 불안이나 더블라지오 시장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는 게시물을 찾아보기 힘들다. 어린이 백신에 관해선 어디서 빨리 맞을 수 있는지 등을 물어보는 글이 대부분이었다.
그렇다고 반대 여론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일부 백신 반대론자는 뉴욕시청과 더블라지오 시장의 사택 앞에서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전날 보수 성향의 폭스뉴스와 인터뷰한 뉴욕의 한 여성은 "코로나19는 그 나이대 아이에게 큰 위협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아이에게까지 백신을 강요하는 것은 약간 미친 일"이라고 비판했다.
관광객을 목놓아 기다리는 맨해튼 식당가의 근심도 크다. 특히 어린이 백신이 승인되지 않은 외국에서 온 가족 단위 관광객이 이번 명령으로 외식을 할 수 없게 됐기 때문이다.
뉴욕시 접객업연합의 앤드루 리지 사무처장은 미국 언론과 인터뷰에서 이 문제를 지적한 뒤 더블라지오 시장을 향해 "마치 그린치와 같다"고 비판했다. 그린치는 크리스마스를 싫어하는 동화책 속 주인공이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1/12/10/AKR20211210064000072_06_i.jpg)
firstcircl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