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개부처 합동 '국가 마이크로바이옴 혁신전략' 의결
임상시험 참가제한 완화 등 10개 규제개선 추진
![](https://img.wowtv.co.kr/YH/2021-12-29/PCM20200130000206990_P2.jpg)
(서울=연합뉴스) 조성흠 기자 = 정부가 미래유망기술로 꼽히는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에 10년간 1조원 이상을 지원해 바이오 신산업을 창출하고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기로 했다.
마이크로바이옴은 인체, 동식물, 토양, 해양 등 모든 환경에 존재하는 미생물군 및 관련 유전정보의 총체를 가리키는 말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9일 임혜숙 장관 주재로 제36회 생명공학종합정책심의회(이하 정책심의회)를 열고 국가 마이크로바이옴 혁신전략안을 심의·의결했다.
마이크로바이옴은 건강, 식품, 축산업,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만성질환 및 난치성질환, 환경오염 등 다양한 사회현안 해결의 대안으로 부각되면서 세계 각국에서 국가 차원의 대형 프로젝트로 통합적 연구개발과 사업화가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개발 및 사업화 전주기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바이오 신산업을 창출하기 위해 9개 부처가 합동으로 이 전략을 수립했다고 설명했다.
우선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개발 혁신을 위해 2023년부터 2032년까지 10년간 1조1천506억원을 투입하는 국가 마이크로바이옴 이니셔티브를 기획·추진한다. 이를 통해 마이크로바이옴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부처별 중복 지원 문제를 해소하는 등 연구의 국가적 방향성 정립과 산업 육성을 꾀한다.
중장기·체계적 지원을 위해 법제도 기반을 마련하고, 시험생산을 지원할 인프라 구축 및 신기술의 시장 진입과 해외 진출도 지원한다.
국가 마이크로바이옴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부처별 연구 인프라에 대한 통합창구를 마련하는 한편 특화 전문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http://img.yna.co.kr/photo/yna/YH/2021/12/29/PYH2021122910100001300_P2.jpg)
임혜숙 장관은 "인류 주요난제 해결의 열쇠인 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해 국가 차원의 통합적인 정책 추진과 함께, 산업생태계 성장 및 활성화를 위해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정책심의회는 바이오 연구·산업 현장에서 제안한 10개 규제개선 과제를 검토하고 소관부처에 개선을 제안했다.
특히 코로나19 등 감염병 위기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임상시험 관련 규제를 완화하는 방안이 논의됐다.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의 신속한 백신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해 현재 6개월로 정해진 임상시험 참가 제한기간을 위해도가 낮은 분야에 대해 완화하는 방안이 나왔다.
유전정보 등 민감정보의 기증 동의절차가 현장에서 활성화될 수 있도록 연구자와 기증자 간 신뢰 형성을 마련할 방안도 검토했다.
과기정통부는 내년 상반기 중 제4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2022~2031년)을 확정키로 하고, 그에 앞서 3월까지 초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jos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