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 석탄 수출 금지 조치 대응반' 운영하며 수급관리
![](https://img.wowtv.co.kr/YH/2022-01-03/AKR20220103017000003_01_i.jpg)
(서울=연합뉴스) 권혜진 기자 = 정부는 인도네시아의 석탄 수출 금지 조치가 국내 전력 수급에 미치는 단기적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일 인도네시아의 석탄 수출 금지 조치에 따른 국내 에너지 및 전력 수급 동향을 점검하기 위해 개최한 '에너지·자원 수급관리TF 긴급회의'에서 인도네시아 정부의 이번 조치로 이달 중 입고 예정이던 물량 중 일부의 입고가 지연될 것으로 보이나 예정 물량의 55%는 이미 선적되거나 출항해 국내에 정상 입고될 예정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또 이미 확보한 석탄 재고량과 호주 등 다른 국가로부터의 정상 수입량 등을 감안 할 때 피해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석탄의 연평균 수입 비중을 보면 호주 49%, 인도네시아 20%, 러시아 11%, 미국 9% 등의 순이었다.
이날 회의에는 산업부 박기영 에너지 차관과 담당 국·과장, 주인도네시아·주중국 한국대사관 소속 상무관, 발전 공기업 5개사, 한국전력[015760], 전력거래소 임원들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석했다.
박 차관은 회의에서 단기적 영향이 제한적이더라도 전력 수요가 가장 높은 1월에 이러한 일이 생긴 만큼 철저한 대응책 마련을 당부했다.
그는 아울러 국가 간 석탄 확보 경쟁 과열이나 가격 상승, 중국·인도 전력 수급 영향 등에 대한 상황 점검도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산업부는 '인도네시아 석탄 수출 금지 조치 대응반'을 운영하면서 에너지 관련 기관 및 해외 공관과의 긴밀한 협조하에 석탄 및 전력 수급 관리에 나설 예정이다.
앞서 지난 1일 인도네시아 언론 보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정부는 국내 공급 부족을 이유로 1월 한 달간 석탄 수출을 전격 금지했다.
세계 최대 석탄 수출국인 인도네시아의 이번 조치로 글로벌 시장에서 석탄값 상승 등의 파장이 예상된다.
luc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