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진에 지역·건설본부장까지 소집해 후속 회의
'3대 사고' 근절 대책 및 협력사 제도 개선안 논의
![](https://img.wowtv.co.kr/YH/2022-01-08/PYH2021101210490001300_P2.jpg)
(서울=연합뉴스) 권혜진 기자 = 한국전력이 하청업체 노동자 감전 사망사고와 관련해 9일 종합 재발방지대책을 발표한다.
8일 정부에 따르면 한전은 전날 정승일 사장 주재로 개최한 회의에서 이같은 방침을 결정하고 현재 최종 대책을 마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전은 주말인 이날 오후에도 서울 서초구 한전아트센터에서 정 사장 주재로 전 경영진이 참석하는 회의를 열어 종합 대책에 담을 내용의 최종 점검에 들어갔다.
이날 회의에는 경영진 외에 주요 처·실장과 지역본부장, 건설본부장까지 전원 참석했다.
종합대책 발표를 앞두고 이에 대한 관련 부서 및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참석 대상을 확대한 것이다.
이번 회의에선 과거 안전사고 원인 재분석과 함께 감전, 끼임, 추락 등 3대 안전사고 근절을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이 집중적으로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협력사의 제도와 인력, 예산 등과 관련한 전방위 문제점 분석 및 개선 방안도 논의됐다.
회의 내용을 아는 한 관계자는 "안전사고와의 결별을 목표로 참석자들 간에 끝장 토론이 이뤄진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이처럼 한전이 서둘러 종합대책을 내놓은 것은 최근 한전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확산하는 데다 안경덕 고용노동부 장관이 한전 사고를 거론하며 압박 수위를 높인 것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안 장관은 지난 6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작년 11월 한국전력 하청업체 근로자가 작업 중 감전으로 사망한 사고와 관련해 "중대재해법이 시행되면 (이런 사고에) 한전 사장도 처벌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공기관에서 사망 사고가 반복되는 것은 유감"이라며 "며칠 전 (정승일) 한전 사장과 통화했는데 사고 발생에 유감을 표명하고, 중대재해법이 시행되면 한전 사장이 처벌될 수 있다고 이야기했다"고 말했다.
노동부 장관이 한전 사장에게 전화하고, 통화 내용까지 공개하는 것은 이례적으로, 그만큼 정부가 이번 사안을 심각하게 바라보고 있다는 방증이다.
이에 지난 6일 해외 출장에서 귀국한 정 사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로 인한 격리가 해제되자마자 대책 회의를 열고 회사 차원의 공식 사과 여부부터 하청업체 관리·감독 강화방안까지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구체적인 대책을 논의했다.
앞서 지난해 11월 경기도 여주의 한 오피스텔 건설 현장에서 30대 하청업체 근로자가 전봇대에서 전기 연결작업을 하던 중 감전 사고로 사망했다.
당시 작업은 한전의 안전 규정에 따라 2인 1조로 진행됐어야 하나 당시 업체에서는 김씨를 홀로 보낸 것으로 알려지며 논란이 됐다.
luc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