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YH/2022-02-03/AKR20220203055700009_01_i.jpg)
(서울=연합뉴스) 한성간 기자 = 남자아이가 1살 때 TV나 DVD 스크린을 매일 1시간 이상 보면 자폐스펙트럼장애(ASD: autism spectrum disorder)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일본 야마나시(山梨) 대학의 쿠시마 메구미 간호학 교수 연구팀이 일본 환경·아동 연구 그룹 15개 센터에서 수집한 모자(mother-child) 8만4천30쌍의 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의학 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가 3일 보도했다.
이 아이 중 330명(0.4%)이 3세 때 ASD 진단을 받았다. 그중 76%가 남자아이였다.
조사 자료에는 아이들이 1살 그리고 3살 때 TV나 DVD 화면을 하루 몇 시간이나 보는지와 3살 때 ASD 진단 여부를 묻는 설문조사 결과가 포함돼 있었다.
한 살 때의 1차 설문조사에서는 8만3천237명, 3살 때의 2차 설문조사에서는 7만4천554명이 대답을 보내왔다.
전체 아이의 90% 이상이 1살 때 TV 또는 DVD 화면에 노출되고 있었다. 노출 시간은 대부분 하루 1시간 미만이었다.
연구팀은 TV 또는 DVD 화면 노출 시간과 ASD 진단율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1살 때 매일 TV 또는 DVD 화면을 보는 시간이 1시간 이상인 남자아이는 전혀 보지 않는 남자아이보다 3살 때 ASD가 발생할 위험이 2~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살 때 TV 또는 DVD 화면을 보는 시간이 1~2시간인 남자아이는 ASD 위험이 2.16배, 2~4시간인 아이는 3.48배, 4시간 이상인 아이는 3.02배 높았다.
그러나 여자아이는 이러한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경우 아이들의 ASD 발생률은 44명에 1명꼴이다. 그런데 ASD 진단율은 남자아이가 여자아이보다 4배나 높다.
이 결과는 ▲'케슬러 정신 스트레스 척도'(Kessler Psychological Distress Scale) 검사를 통한 어머니의 양육 태도(이는 아이의 TV 또는 DVD 화면 보는 시간과 관련이 있다) ▲어머니의 우울증, 불안장애 등 정신질환 ▲1세 때의 '유아 발달 지연 선별 검사'(Ages and Stages Questionnaire) 결과를 모두 고려한 것이다.
'유아 발달 지연 선별 검사'는 어머니가 아이의 5가지 발달 영역(의사소통, 대근육 운동, 소근육 운동, 문제 해결, 개인적 사회성)을 평가하는 설문조사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1세 미만의 유아에게는 TV나 DVD 화면을 보게 하지 말도록 권한다.
미국 소아과학회(AAP: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는 생후 18개월 이전에는 TV나 DVD 화면을 보지 못 하게 하라고 권고하고 있다.
유아의 학습에 절대적으로 중요한 것은 ▲신체적 활동 ▲손으로 직접 만지면서 살펴보는 것(hands-on exploration) ▲얼굴을 마주 보면서 하는 사회적 상호행동(face-to-face social interaction)인데 미디어 노출이 이를 가로막는다고 AAP는 지적한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의학협회 저널-소아과학'(JAMA Pediatrics) 최신호에 발표됐다.
skh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