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안정-간편식 개발 등 지원…연관산업 8천110억원 규모로 육성
(서울=연합뉴스) 권희원 기자 = 해양수산부는 국내 넙치(광어)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해 2030년까지 관련 수출액을 현재의 6배인 3억달러까지 늘리고, 연관 산업 규모를 8천110억원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3일 밝혔다.
1980년부터 2009년까지 약 30년간 생산량이 2천733배 늘어난 넙치는 최근 10년간은 성장세가 정체되고 있지만, 양식 넙치는 우리나라 양식 어류 소비의 65%, 생산량의 50%를 차지할 정도로 여전히 비중이 큰 어종이다.
해수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배달 소비문화 확산, 활넙치 물가 상승 등을 고려할 때 계획적인 넙치 생산 관리가 필요하다고 보고 간편식 생산 시설과 온·오프라인 시장을 확대하는 동시에 넙치 수급의 전(全) 주기를 통합적으로 관리한다는 방침이다.
해수부는 먼저 민관 협력 수급 통합 관리를 통한 활넙치 가격 안정에 나선다.
기존에 종자 입식·생산·유통·소비 단계별로 따로따로 진행되던 자료 조사의 연계성을 강화하는 한편 수산물 소비 성향 분석과 수산 종자 실태조사 등의 신규 사업을 도입해 넙치 수급 조절을 위한 참고자료 수집 범위를 넓힐 계획이다.
또한 수산 종자 품질 표시제 등을 통해 넙치 양식어가의 우량종자 선택권을 강화하고, 민간은 수급 조절을 위한 공동 예비 자금을 조성해 가격 급락 등 비상시에 입식 종자와 어린 넙치를 매입해 시장에서 분리시키는 등 정부와 함께 생산물량을 조절한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2/02/03/AKR20220203057700003_01_i.jpg)
아울러 해수부는 새로운 소비문화에 맞춰 넙치 산업을 재편하기 위해 간편식·선어회용, 어묵 원료, 펫 사료 등 다양한 상품 개발도 지원한다.
구체적으로는 2022년까지 30억원을 투입해 인천에 넙치 선어 자동화가공센터를 건립하고, 중소어가가 생산한 양식 넙치를 간편식·선어회·밀키트 등으로 제작해 온라인과 편의점 판매를 지원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넙치 간편식·가공원료 시장 규모를 현재의 약 4배인 1천200억원까지 늘리고, 넙치 연관 산업 규모는 현재 3천545억원에서 8천110억원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연관 산업은 넙치 양식업을 제외한 종자, 약품, 사료, 가공업 등을 말한다.
해수부는 이와 함께 넙치의 유전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불량 종자를 사전에 분리하는 기술을 개발해 전통적인 넙치 양식 방식을 과학적 데이터 기반의 첨단 양식업으로 전환한다는 계획이다.
올해부터 2026년까지 355억원을 투입해 넙치 양식장의 종자 입식과 수질, 사료 공급 등을 디지털 정보로 변환해 과밀 양식을 방지하고, 2024년까지 69억원을 투입해 오염 배출수가 거의 없는 차세대 순환여과양식 개발에도 나선다는 방침이다.
이밖에 해외 신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기 위해 수산양식협의회에서 개발한 국제인증인 넙치ASC 인증 취득을 지원하고, 해외 유명 e-커머스 플랫폼 입점을 위한 시장 조사를 지원할 예정이다.
hee1@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