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사용 부담' 주장…정부 "투명성 높아져 거부하는 것"
![](https://img.wowtv.co.kr/YH/2022-02-03/AKR20220203083251003_01_i.jpg)
(서울=연합뉴스) 이영섭 기자 = 계란 유통업 단체가 3일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계란이력제 전자 입력에 반대하는 1인 릴레이 시위에 돌입했다.
한국계란선별포장유통협회는 "오늘 오전 10시부터 무기한 1인 시위를 시작했다"며 "계란 이력정보를 전산으로만 입력하도록 한 정부 조치가 폐기될 때까지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20년 1월부터 식용 계란의 유통 경로를 추적·관리하기 위해 계란 이력제를 도입했다.
이에 계란 유통업자는 계란 껍데기에 산란일자와 농장고유번호 등을 표시한 데 이어 입고검사서, 식용란 거래·폐기내역서, 식용란 선별포장확인서 등의 서류를 작성해야 했다.
정부는 이후 계란을 더 신속하게 추적·관리하기 위해 지난달 25일부터 유통업자가 각종 정보를 전산 시스템에만 입력하도록 조치를 강화했다.
입력 체계를 단순화해 유통업체의 부담을 덜어주려는 의도도 있었지만, 업계에서는 외려 "컴퓨터에 정보를 입력하기가 복잡하다"는 반발이 나오고 있다.
![](http://img.yna.co.kr/photo/yna/YH/2022/01/25/PYH2022012515070001300_P2.jpg)
한국계란선별포장유통협회는 "고령화된 영세업자들은 컴퓨터에 접근할 수조차 없다"며 "기존에 시행하는 제도만으로 계란을 충분히 추적·관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계란이력제 전자 입력은 이미 있는 정보를 형식만 바꿔 다시 기재하는 것으로, 이중 규제에 해당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농식품부 관계자는 업계에서 계란 유통 정보가 더 투명하게 공개되는 데 대해 거부감을 느끼는 것으로 해석했다.
이 관계자는 "작년에 한국계란선별포장유통협회를 비롯한 업계 단체 측에 전산 신고 시스템 이용 방법을 시연했고, 당시에는 모두 '이 정도면 어렵지 않다'고 했었다"며 "고령화된 업계 종사자들이 휴대폰으로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전용 앱도 개발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아무래도 수기로 장부를 작성할 때보다는 전자신고제를 시행했을 때 유통 상황이 더 투명하게 드러날 것"이라며 "업계에서는 이 점이 부담스러울 수 있다"고 덧붙였다.
youngl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